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21년 기사 2회_2부

다솔변샘_안전 2025. 4. 6. 02:14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9문제이며, 배점은 총 45점 만점,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속 일러스트 이미지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www.kosha.or.kr)


문제/정답

1. 섬유공장에서 기계가 돌아가고 있을 때 착용해야할 적절한 보호구 3가지를 쓰시오.


『 돌아가는 회전체가 보이고 일반모자를 쓴 작업자가 목장갑만 끼고 전기기구를 만진다. 중간에 먼지를 손으로 닦아낸다. 작업자의 귀, 눈을 집중적으로 보여주고 계속 얼굴을 찡그린다. 맨 얼굴이다. 』


○ 보안경
○ 귀마개
○ 방진마스크 


2. 동영상에서 사고의 문제점 2가지를 쓰시오.

『 맨손에 슬리퍼를 착용한 A작업자가 변압기의 2차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유리창 너머의 B작업자에게 개폐기함에 전원을 투입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A작업자가 측정 완료 후 B작업자에게 다시 차단하라고 신호를 보내고 측정기기를 맨손으로 철거하다 사고가 발생한다. 』


○ 작업자 간의 신호가 잘 전달되지 않았다. 
○ 작업자가 내전압용 절연장갑, 절연장화 등의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았다. 
○ 작업자가 안전 확인을 소홀히 했다. 


3. 호이스트로 배관 이동 작업 시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천장크레인(호이스트)로 화물 인양 중, 한손에는 조작스위치 한 손에는 배관을 잡고 있다. 한줄걸로 흔들리다가 기울며 추락하고, 작업자도 바닥은 난장판이라 부품에 걸려 넘어지며 소리를 지른다. 훅에 훅 해지장치가 없다. 』

○ 한줄걸이로 화물을 인양하여 위험하다. 
○ 유도로프를 사용하지 않아 화물의 흔들림을 잡지 못해 위험하다. 
○ 훅 해지장치가 없어 슬링, 와이어가 이탈할위험이 있다. 


4. 컨베이어 벨트, 선반 축, 그라인더 기계기구 3가지에 대한 안전장치를 1가지씩 쓰시오. 


○ 컨베이어 벨트 :  비상정지장치, 덮개, 울, 건널다리 
○ 선반 축 : 덮개, 울 
○ 그라인더  : 덮개

 
5. 지게차의 포크에 산업용 냉장고 실외기 박스들을 2열로 높히 쌓아올렸는데, 높이도 안 맞고 고정되어 있지도 않으며, 운전자의 시야가 가린다.
다른 작업자가 수레로 공구등을 내려 놓고 정리한 뒤 뒤돌아서 나오는 순간 지게차와 부딪힌다. 마지막에 박스가 흔들리고 화면도 같이 흔들린다. 동영상의 지게차 재해 사고 원인을 3가지 쓰시오. 


○ 지게차 접촉 우려 장소에 다른 작업자가 출입
○ 작업지휘자 또는 유도자가 배치되지 않음.
○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도록 화물이 적재
○ 근로자와 충돌할 위험이 있는 경우임에도 경광등이 작동하지 않음.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가설통로 설치시 준수사항 관련해서 (   ) 안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 
​​


○ 견고한 구조로 할 것
○ 경사는 ( 30 ) 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2미터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경사가 ( 15 )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 m 이상인 경우에는 ( 10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 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7. VDT자세 개선점을 3가지 쓰시오.


『 작업자가 사무실에서 의자에 앉아 컴퓨터 조작 중이다. 작업자가 의자 높이가 맞지 않아 다리를 구부리고 앉아 있으며, 모니터를 가까이에서 바라보고 있다. 키보드를 손으로 조작하는데 키보드가 너무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


○ 모니터를 근로자의 수평선상 시야에서 아래로 10~15도 이내에 오도록 하며, 거리는 40cm 이상 되도록 한다. 
○ 의자에 앉을 때는 의자에 깊숙이 앉아 의자 등받이에 등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 발바닥 전면이 바닥에 닿도록 하며, 그러하지 못할 때는 발 받침대를 조건에 맞는 높이와 각도로 설치할 것. 


8. 활선전로 인접 전주작업 관리적대책 3가지를 쓰시오.


『 항타기·항발기로 땅을 파는 중에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보도블럭을 빼낸다. 그 이후 전주를 옮기다 인접 활선에 접촉되어 전기가 지지직 한다. 』


○ 차량등을 충전부로부터 300cm 이상 이격 유지시키되, 대지전압이 50kv를 넘는 경우에는 10kv 증가할 때 마다 이격거리를 10cm 증가
○ 절연용 방호구등을 설치한 경우에는 이격거리를 절연용 방호구 앞면까지로 할 수 있다. 
○ 차량등의 가공 붐대의 버킷이나 끝부분 등이 충전전로의 전압에 적합하게 절연되어 있고 유자격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붐대의 절연되지 않은 부분과 충전 


9. 동영상의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마스크를 미착용한 작업자가 2층에서 천정 작업을 하는데, 2층에서 포장박스를 칼,   가위로 뜯고 있는데 주변이 정리정돈이 되어 있지 않고,  바퀴 고정이 되지 않아 비계가 움직인다. 』


○ 안전대를 너무 낮은 곳에 체결하였다. 
○ 브레이크·쐐기 등으로 바퀴를 고정하지 않았다. 
○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하지 않았다. 


문제

1. 섬유공장에서 기계가 돌아가고 있을 때 착용해야할 적절한 보호구 3가지를 쓰시오.


『 돌아가는 회전체가 보이고 일반모자를 쓴 작업자가 목장갑만 끼고 전기기구를 만진다. 중간에 먼지를 손으로 닦아낸다. 작업자의 귀, 눈을 집중적으로 보여주고 계속 얼굴을 찡그린다. 맨 얼굴이다. 』

○  
○ 
○ 



2. 동영상에서 사고의 문제점 2가지를 쓰시오.

『 맨손에 슬리퍼를 착용한 A작업자가 변압기의 2차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유리창 너머의 B작업자에게 개폐기함에 전원을 투입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A작업자가 측정 완료 후 B작업자에게 다시 차단하라고 신호를 보내고 측정기기를 맨손으로 철거하다 사고가 발생한다. 』

 

○  
○ 
○ 



3. 호이스트로 배관 이동 작업 시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천장크레인(호이스트)로 화물 인양 중, 한손에는 조작스위치 한 손에는 배관을 잡고 있다. 한줄걸로 흔들리다가 기울며 추락하고, 작업자도 바닥은 난장판이라 부품에 걸려 넘어지며 소리를 지른다. 훅에 훅 해지장치가 없다. 』

○  
○ 
○ 



4. 컨베이어 벨트, 선반 축, 그라인더 기계기구 3가지에 대한 안전장치를 1가지씩 쓰시오. 


○ 컨베이어 벨트 :  
○ 선반 축 : 
○ 그라인더  : 

 
5. 지게차의 포크에 산업용 냉장고 실외기 박스들을 2열로 높히 쌓아올렸는데, 높이도 안 맞고 고정되어 있지도 않으며, 운전자의 시야가 가린다.
다른 작업자가 수레로 공구등을 내려 놓고 정리한 뒤 뒤돌아서 나오는 순간 지게차와 부딪힌다. 마지막에 박스가 흔들리고 화면도 같이 흔들린다. 동영상의 지게차 재해 사고 원인을 3가지 쓰시오. 

○  
○ 
○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가설통로 설치시 준수사항 관련해서 (   ) 안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 
​​


○ 견고한 구조로 할 것
○ 경사는 (      ) 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2미터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경사가 (     )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 m 이상인 경우에는 (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 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7. VDT자세 개선점을 3가지 쓰시오.


『 작업자가 사무실에서 의자에 앉아 컴퓨터 조작 중이다. 작업자가 의자 높이가 맞지 않아 다리를 구부리고 앉아 있으며, 모니터를 가까이에서 바라보고 있다. 키보드를 손으로 조작하는데 키보드가 너무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

○  
○ 
○ 



8. 활선전로 인접 전주작업 관리적대책 3가지를 쓰시오.


『 항타기·항발기로 땅을 파는 중에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보도블럭을 빼낸다. 그 이후 전주를 옮기다 인접 활선에 접촉되어 전기가 지지직 한다. 』

○  
○ 
○ 



9. 동영상의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마스크를 미착용한 작업자가 2층에서 천정 작업을 하는데, 2층에서 포장박스를 칼,   가위로 뜯고 있는데 주변이 정리정돈이 되어 있지 않고,  바퀴 고정이 되지 않아 비계가 움직인다. 』


○  
○ 
○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기사 3회_1부  (0) 2025.04.07
2021년 기사 2회_3부  (0) 2025.04.06
2021년 기사 2회_1부  (0) 2025.04.06
2021년 기사 1회_3부  (0) 2025.04.05
2021년 기사 1회_2부  (0)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