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9문제이며, 배점은 총 45점 만점,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속 일러스트 이미지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www.kosha.or.kr)
문제/정답
1. 컨베이어벨트 관리감독자 작업전 점검사항 3가지를 쓰시오.
![]() |
![]() |
○ 원동기 및 풀리 기능의 이상 유무
○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원동기ㆍ회전축ㆍ기어 및 풀리 등의 덮개 또는 울 등의 이상 유무
2. 전동 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 중 이다. 기계가 정지하여 점검하던 중 맨손이 권선기에 닿는 순간 작업자가 쓰러진다. 동영상의 재해발생유형과 재해발생원인 1가지를 쓰시오.
○ 재해발생형태 : 감전
○ 재해발생원인
· 점검 전 전원 미차단
· 절연용 보호구 미착용
3. 기름탱크 앞에서 지게차를 주유중에 흡연하였을 때 (가) 불안전요소와 (나) 발생가능한 재해를 쓰시오.
(가) 불안전요소
: 인화성 물질이 있는 곳에서 흡연을 하고 있어 “나화”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위험
(나) 발생가능한 재해: 폭발
4. 작업자가 작업발판 위에서 피트 내 벽면에 돌출되어 있는 콘크리트 타이핀 제거 작업을 하다가 피트 바닥으로 떨어진다. 동영상을 보고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안전난간 미설치
○ 울타리 미설치
○ 추락방호망 미설치
5. 실험실에서 H2SO4(황산)을 비커에 따르다가 손에 묻는다. 작업자는 맨손이며 마스크를 미착용하고 있다. 황산이 체내에 유입될 수 있다. 재해발생형태와 정의를 쓰시오.
![]() |
![]() |
○ 재해발생형태 : 유해위험물질 노출 접촉
○ 정의: 유해위험물질에 노출 접촉 또는 흡입하였거나 독성동물에 쏘이거나 물린경우
6. 이동식 비계 설치 시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동영상 설명 :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 1명이 이동식 비계 옆으로 올라간다. 이동식 비계 바퀴가 고정되지 않아서 흔들린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서 각목으로 천정을 미는 작업을 하면서 이동식 비계가 흔들리고 결국 추락한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 난간은 없으며, 안전대는 착용하지 않았다.』
○ 승강용 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 것
○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 작업 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 발판 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지 않도록 할 것
7. 둥근톱 작업 시 불언전한 행동 3가지를 쓰시오.
『 화면은 둥급톱을 이용하여 물을 뿌리면서 대리석을 자르는 작업 중이다. 작업자가 기계를 정지시키지 않고 쇠파이프 막대로 수압조절 밸브를 치면서 조절한다. 그 손으로 벽면에 부착된 기계의 전원스위치를 만진다. 그리고 가동 중인 기계 레일 위을 왔다 갔다 한다. 그러다 좌축 둥근톱이 정지되자 면장갑을 낀 손으로 톱날을 돌려본다. 반대편 오른편 동근톱은 여전히 작동중이다. 』
○ 전원차단 미실시
○ 톱날접촉예방장치 미설치
○ 가동 중인 기계 위를 걸어 다님
8. 자동차부품(브레이크 라이닝)을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있다. 세정제가 바닥에 흩어져 있으며, 고무장화 등을 착용하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있다. 운동화를 신고 일반 작업복을 입고 방진 마스크와 면장갑을 착용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영상의 작업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 2가지를 쓰시오. (단, 안전모 제외)
○ 불침투성 보호복
○ 불침투성 보호장갑
○ 불침투성 보호장화
○ 보안경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가설통로 설치시 준수사항 관련해서 ( ) 안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
○ 견고한 구조로 할 것
○ 경사는 ( 30 ) 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2미터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경사가 ( 15 )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 m 이상인 경우에는 ( 10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 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문제
1. 컨베이어벨트 관리감독자 작업전 점검사항 3가지를 쓰시오.
![]() |
![]() |
○
○
○
2. 전동 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 중 이다. 기계가 정지하여 점검하던 중 맨손이 권선기에 닿는 순간 작업자가 쓰러진다. 동영상의 재해발생유형과 재해발생원인 1가지를 쓰시오.
○ 재해발생형태 :
○ 재해발생원인 :
3. 기름탱크 앞에서 지게차를 주유중에 흡연하였을 때 (가) 불안전요소와 (나) 발생가능한 재해를 쓰시오.
(가) 불안전요소 :
(나) 발생가능한 재해 :
4. 작업자가 작업발판 위에서 피트 내 벽면에 돌출되어 있는 콘크리트 타이핀 제거 작업을 하다가 피트 바닥으로 떨어진다. 동영상을 보고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
○
5. 실험실에서 H2SO4(황산)을 비커에 따르다가 손에 묻는다. 작업자는 맨손이며 마스크를 미착용하고 있다. 황산이 체내에 유입될 수 있다. 재해발생형태와 정의를 쓰시오.
![]() |
![]() |
○ 재해발생형태 :
○ 정의 :
6. 이동식 비계 설치 시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동영상 설명 :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 1명이 이동식 비계 옆으로 올라간다. 이동식 비계 바퀴가 고정되지 않아서 흔들린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서 각목으로 천정을 미는 작업을 하면서 이동식 비계가 흔들리고 결국 추락한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 난간은 없으며, 안전대는 착용하지 않았다.』
○
○
○
7. 둥근톱 작업 시 불언전한 행동 3가지를 쓰시오.
『 화면은 둥급톱을 이용하여 물을 뿌리면서 대리석을 자르는 작업 중이다. 작업자가 기계를 정지시키지 않고 쇠파이프 막대로 수압조절 밸브를 치면서 조절한다. 그 손으로 벽면에 부착된 기계의 전원스위치를 만진다. 그리고 가동 중인 기계 레일 위을 왔다 갔다 한다. 그러다 좌축 둥근톱이 정지되자 면장갑을 낀 손으로 톱날을 돌려본다. 반대편 오른편 동근톱은 여전히 작동중이다. 』
○
○
○
8. 자동차부품(브레이크 라이닝)을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있다. 세정제가 바닥에 흩어져 있으며, 고무장화 등을 착용하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있다. 운동화를 신고 일반 작업복을 입고 방진 마스크와 면장갑을 착용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영상의 작업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 2가지를 쓰시오. (단, 안전모 제외)
○
○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가설통로 설치시 준수사항 관련해서 ( ) 안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
○ 견고한 구조로 할 것
○ 경사는 ( ) 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2미터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경사가 ( )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 m 이상인 경우에는 (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 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기사 2회_1부 (0) | 2025.04.06 |
---|---|
2021년 기사 1회_3부 (0) | 2025.04.05 |
2021년 기사 1회_1부 (0) | 2025.04.05 |
2020년 기사 3회_3부 (0) | 2025.04.05 |
2020년 기사 3회_2부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