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21년 기사 1회_3부

다솔변샘_안전 2025. 4. 5. 12:22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9문제이며, 배점은 총 45점 만점,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속 일러스트 이미지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www.kosha.or.kr)


문제/정답

1. 지게차 운전 중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지게차에 화물이 높게 적재되어 화물이 떨어질 위험이 있다. 화물을 2단으로 적재하고 로프 등으로 고박하지 않았고 맨위 박스가 흔들거린다. 그러던 중 지나가는 다른 작업자를 치는 재해가 발생한다.  제품출하가 늦어져 운전자가 서두르고 있다. 』

○ 전방시야 불충분으로 지게차에 의해 다른 작업자가 다칠 수 있다. 
○ 물건을 불안정하게 적재하여 화물이 떨어져 다른 작업자가 다칠 수 있다. 


2. 항타기·항발기로 땅을 파는 중에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보도블럭을 빼낸다. 그 이후 전주를 옮기다 인접 활선에 접촉되어 전기가 지지직한다. 재해의 직접요인 2가지를 쓰시오. 


○ 이격거리 미준수 
○ 작업자의 접근 한계거리 미준수 


3. 밀페공간에서 적정공기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적정공기란 산소농도의 범위가 (① 18)% 이상 (② 23.5)% 미만
○ 탄산가스의 농도가 (③ 1.5)% 미만 
○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④ 30)ppm 미만 
○ 황화수소의 농도가 (⑤ 10)ppm 미만인 공기를 말한다. 


4. 크레인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이동하고 있다. 슬링벨트는 한줄걸이 이며 한손에는 조작스위치, 다른 한손에는 파이프를 잡고 이동하다가 바닥에 걸려서 넘어진다. 훅에 훅 해지장치가 없다. 
동영상 작업에서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한줄걸이로 화물을 인양하여 위험하다.
○ 유도로프를 사용하지 않아 화물의 흔들림을 잡지 못해 위험하다. 
○ 해지장치가 없어 슬링벨트의 이탈위험이 있다. 


5. 공사 중인 엘리베이터 피트홀 영상을 보여준다.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로서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해야하는 시설물 3가지를 쓰시오. 


○ 안전난간
○ 울타리
○ 수직형 추락방망
○ 덮개


6. 타워크레인 크레인 방호 장치 3가지를 쓰시오. 


○ 과부하 방지 장치
○ 권과 방지 장치
○ 비상 정지 장치


7.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고시상, 롤러기의 급정지장치 종류 3가지와 설치 위치를 쓰시오. 


○ 손조작식 : 밑면에서 1.8m 이내 
○ 복부조작식 : 밑면에서 0.8m 이상 1.1m 이내
○ 무릎조작식 : 밑면에서 0.6m 이내 


​8. 화면은 드릴작업 중으로 공작물을 바이스에 고정시켜 놓았고,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하면서 이물질을 손으로 제거하려다가 드릴에 손을 다치는 사고 사례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 동영상에 나타나는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회전체에 장갑을 착용하고 있어 손이 다칠 위험이 있다.
○ 브러시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다 손이 다칠 위험이 있다.


9. 안정장치가 없는 둥근톱 기계에 고정식 접촉예방장치를 설치하고자 한다. 이때 ① 방호장치 ② 안전덮개 각도는 얼마로 조정하는지 쓰시오. 


① 방호장치 : 덮개

② 각도 : 180도 이내


문제

1. 지게차 운전 중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지게차에 화물이 높게 적재되어 화물이 떨어질 위험이 있다. 화물을 2단으로 적재하고 로프 등으로 고박하지 않았고 맨위 박스가 흔들거린다. 그러던 중 지나가는 다른 작업자를 치는 재해가 발생한다.  제품출하가 늦어져 운전자가 서두르고 있다. 』


○  


2. 항타기·항발기로 땅을 파는 중에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보도블럭을 빼낸다. 그 이후 전주를 옮기다 인접 활선에 접촉되어 전기가 지지직한다. 재해의 직접요인 2가지를 쓰시오. 



○ 


3. 밀페공간에서 적정공기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적정공기란 산소농도의 범위가 (①        )% 이상 (②          )% 미만
○ 탄산가스의 농도가 (③          )% 미만 
○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④         )ppm 미만 
○ 황화수소의 농도가 (⑤          )ppm 미만인 공기를 말한다. 


4. 크레인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이동하고 있다. 슬링벨트는 한줄걸이 이며 한손에는 조작스위치, 다른 한손에는 파이프를 잡고 이동하다가 바닥에 걸려서 넘어진다. 훅에 훅 해지장치가 없다. 
동영상 작업에서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 
○ 



5. 공사 중인 엘리베이터 피트홀 영상을 보여준다.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로서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해야하는 시설물 3가지를 쓰시오. 

○ 
○ 
○ 


6. 타워크레인 크레인 방호 장치 3가지를 쓰시오. 



○ 



7.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고시상, 롤러기의 급정지장치 종류 3가지와 설치 위치를 쓰시오. 


○ 
○ 
○ 


​8. 화면은 드릴작업 중으로 공작물을 바이스에 고정시켜 놓았고,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하면서 이물질을 손으로 제거하려다가 드릴에 손을 다치는 사고 사례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 동영상에 나타나는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 


9. 안정장치가 없는 둥근톱 기계에 고정식 접촉예방장치를 설치하고자 한다. 이때 ① 방호장치 ② 안전덮개 각도는 얼마로 조정하는지 쓰시오. 


① 방호장치 : 
② 각도 :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기사 2회_2부  (0) 2025.04.06
2021년 기사 2회_1부  (0) 2025.04.06
2021년 기사 1회_2부  (0) 2025.04.05
2021년 기사 1회_1부  (0) 2025.04.05
2020년 기사 3회_3부  (0)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