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21년 기사 2회_1부

다솔변샘_안전 2025. 4. 6. 01:52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9문제이며, 배점은 총 45점 만점,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속 일러스트 이미지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www.kosha.or.kr)


문제/정답

1. 2명의 작업자가 방진마스크, 보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휴대용 연삭기로 기다란 대리석 돌판 연마 작업중이다. 작업자는 팔을 조금 들면 연삭기 측면 사용하다 대리석 가공물이 떨어진다. 작업장에는 이동전선 및 충전부가 어지럽게 널려 물에 닿은 채 있다. 휴대장비 등을 사용하는 작업에서 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대책을 3가지만 쓰시오.


○ 근로자가 착용하거나 취급하고 있는 도전성 공구ㆍ장비 등이 노출 충전부에 닿지 않도록 할 것.
○ 근로자가 젖은 손으로 전기기계ㆍ기구의 플러그를 꽂거나 제거하지 않도록 할 것.
○ 근로자가 전기회로를 개방, 변환 또는 투입하는 경우에는 전기 차단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스위치, 차단기 

  등을 사용하도록 할 것.


2. 화면은 롤러기 또는 인쇄 윤전기 점검을 보여주고 있다. 
롤러기 청소 시 작업자 행동의 문제점 및 안전대책을 2가지씩 쓰시오. 

[ 동영상 설명 ]
작업자가 가동 중인 롤러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꺼 정지시킨 후 내부수리를 하고 있고, 수리 완료 후 롤러 기를 가동해 내부의 이물질을 장갑을 착용 한 손으로 제거하다 롤러기에 말려들어가는 동영상이다.


문제점:
1. 회전체에 장갑을 착용하여 손이다칠 우려가 있다.
2. 작업자가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작업을 하였다.
3. 안전장치 없이 작업을 하여다 칠 우려가 있다. 

대책:
1. 회전체에는 장갑을 착용하지 않는다.
2. 이물질 제거 시 롤러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기계 작동을 방지한다.
3. 안전장치가 없어서 롤러가 멈추지 않아  손이 물려 들어가므로 안전장치를 설치한다.

 


3. 해당 동영상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 원인 3가지를 쓰시오. 


『 작업자 A는 아파트 대형 창틀(샷시 없음)에서, B는 약 50cm 벽을 두고 옆 처마 위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자 A가 창틀 밖으로 작업발판을 작업자 B에게 건네준다. 작업자 B가 있는 처마 위로 이동하다 발을 헛디뎌 바닥으로 추락한다. 주변 정리정돈은 되어있지 안혹, A작업자가 밟고 있던 콘크리트 부스러기가 추락할 때 같이 떨어진다. 작업 중의 높이는 알 수 없고, 바닥도 보이지 않는다. 』


○ 안전난간 미설치
○ 안전대 미착용
○ 작업발판 미설치 
○ 추락방호망 미설치 


4. 면장갑을 착용한 작업자가 선반 작업 중, 회전축에 샌드페이퍼를 감아 손으로 지지하고 있다가 장갑을 낀 손이 회전부에 말려들어간다.  선반작업 시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 3가지를 쓰시오.


○ 장갑착용
○ 손으로 지지
○ 방호장치 미설치 


5. 전동 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 중 이다. 기계가 정지하여 점검하던 중 맨손이 권선기에 닿는 순간 작업자가 쓰러진다.  동영상의 재해발생유형과 재해발생원인 1가지를 쓰시오. 


○ 재해발생형태 : 감전 

○ 재해발생원인 
 · 점검 전 전원 미차단 
 · 절연용 보호구 미착용 



6. 에어컨프레셔로 작업을 할 때 착용해야하는 보호구 3가지를 쓰시오.


『 일반모자를 쓰고 있는 작업자가 개폐기함에 전원을 올리고 기계 장비 및 주변을 에어건으로 불어 버리며 청소하고 있다. 바닥까지 엎드려서 기계 밑 공장바닥에 있는 먼지까지 맨 눈으로 확인하다가, 눈을 감싸고 아파한다. 보안경, 방진마스크는 미착용 상태이다. 』


○ 방진마스크
○ 보안경
○ 귀마개


7. 동영상에서 사고의 문제점 2가지를 쓰시오.


『 맨손에 슬리퍼를 착용한 A작업자가 변압기의 2차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유리창 너머의 B작업자에게 개폐기함에 전원을 투입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A작업자가 측정 완료 후 B작업자에게 다시 차단하라고 신호를 보내고 측정기기를 맨손으로 철거하다 사고가 발생한다. 』


○ 작업자 간의 신호가 잘 전달되지 않았다. 
○ 작업자가 내전압용 절연장갑, 절연장화 등의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았다. 
○ 작업자가 안전 확인을 소홀히 했다.


8. 화면 중 작업 시 안전 작업 수칙 2가지를 쓰시오. 


『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 1명이 이동식비계 옆으로 기어 올라간다. 이동식비계 바퀴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흔들린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서 각목으로 천정을 미는 작업을 하면서 이동식 비계가 흔들리고 결국에 추락한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 난간은 없으며,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았다. 』

 

○ 비계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를 고정시키고 비계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한다. 
○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한 후 작업한다. 
○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9. 작업자 여러명이 타워 크레인 한줄걸이로 화물을 트럭 위로 올리고 있다. 신호수가 없어 혼자 작업한다. 그 옆에 작업자 1명은 안전모를 쓰지 않았다. 동영상에서 안전조치미흡사항 3가지를 쓰시오. (이미지는 2줄걸이)


○ 화물의 1줄걸이
○ 개인보호구 미착용
○ 신호수 미배치 


문제

1. 2명의 작업자가 방진마스크, 보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휴대용 연삭기로 기다란 대리석 돌판 연마 작업중이다. 작업자는 팔을 조금 들면 연삭기 측면 사용하다 대리석 가공물이 떨어진다. 작업장에는 이동전선 및 충전부가 어지럽게 널려 물에 닿은 채 있다. 휴대장비 등을 사용하는 작업에서 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대책을 3가지만 쓰시오.


○ 
○ 



2. 화면은 롤러기 또는 인쇄 윤전기 점검을 보여주고 있다. 
롤러기 청소 시 작업자 행동의 문제점 및 안전대책을 2가지씩 쓰시오. 

[ 동영상 설명 ]
작업자가 가동 중인 롤러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꺼 정지시킨 후 내부수리를 하고 있고, 수리 완료 후 롤러 기를 가동해 내부의 이물질을 장갑을 착용 한 손으로 제거하다 롤러기에 말려들어가는 동영상이다.


문제점:
1. 
2. 
3. 

대책:
1. 
2. 
3. 

 


3. 해당 동영상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 원인 3가지를 쓰시오. 


『 작업자 A는 아파트 대형 창틀(샷시 없음)에서, B는 약 50cm 벽을 두고 옆 처마 위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자 A가 창틀 밖으로 작업발판을 작업자 B에게 건네준다. 작업자 B가 있는 처마 위로 이동하다 발을 헛디뎌 바닥으로 추락한다. 주변 정리정돈은 되어있지 안혹, A작업자가 밟고 있던 콘크리트 부스러기가 추락할 때 같이 떨어진다. 작업 중의 높이는 알 수 없고, 바닥도 보이지 않는다. 』

 

○ 
○ 
○ 



4. 면장갑을 착용한 작업자가 선반 작업 중, 회전축에 샌드페이퍼를 감아 손으로 지지하고 있다가 장갑을 낀 손이 회전부에 말려들어간다.  선반작업 시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 3가지를 쓰시오.

○ 
○ 
○ 



5. 전동 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 중 이다. 기계가 정지하여 점검하던 중 맨손이 권선기에 닿는 순간 작업자가 쓰러진다.  동영상의 재해발생유형과 재해발생원인 1가지를 쓰시오. 


○ 재해발생형태 :  

○ 재해발생원인 
 · 
 · 



6. 에어컨프레셔로 작업을 할 때 착용해야하는 보호구 3가지를 쓰시오.


『 일반모자를 쓰고 있는 작업자가 개폐기함에 전원을 올리고 기계 장비 및 주변을 에어건으로 불어 버리며 청소하고 있다. 바닥까지 엎드려서 기계 밑 공장바닥에 있는 먼지까지 맨 눈으로 확인하다가, 눈을 감싸고 아파한다. 보안경, 방진마스크는 미착용 상태이다. 』

 

○ 
○ 
○ 



7. 동영상에서 사고의 문제점 2가지를 쓰시오.


『 맨손에 슬리퍼를 착용한 A작업자가 변압기의 2차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유리창 너머의 B작업자에게 개폐기함에 전원을 투입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A작업자가 측정 완료 후 B작업자에게 다시 차단하라고 신호를 보내고 측정기기를 맨손으로 철거하다 사고가 발생한다. 』

 

○ 
○ 
○ 



8. 화면 중 작업 시 안전 작업 수칙 2가지를 쓰시오. 


『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 1명이 이동식비계 옆으로 기어 올라간다. 이동식비계 바퀴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흔들린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서 각목으로 천정을 미는 작업을 하면서 이동식 비계가 흔들리고 결국에 추락한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 난간은 없으며,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았다. 』

 

○ 
○ 
○ 



9. 작업자 여러명이 타워 크레인 한줄걸이로 화물을 트럭 위로 올리고 있다. 신호수가 없어 혼자 작업한다. 그 옆에 작업자 1명은 안전모를 쓰지 않았다. 동영상에서 안전조치미흡사항 3가지를 쓰시오. (이미지는 2줄걸이)


○ 
○ 
○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기사 2회_3부  (0) 2025.04.06
2021년 기사 2회_2부  (0) 2025.04.06
2021년 기사 1회_3부  (0) 2025.04.05
2021년 기사 1회_2부  (0) 2025.04.05
2021년 기사 1회_1부  (0)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