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9문제이며, 배점은 총 45점 만점,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속 일러스트 이미지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www.kosha.or.kr)
문제/정답
1. 작업자가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 중이다. 두꺼운 장갑 및 절연용 안전모를 착용하였으나 안전대는 착용하지 않았다. 차량 밑에서 얇은 장갑을 착용한 다른 작업자가 자재를 달줄로 매달고 올려보낸다. 작업자가 활선전로에 가까이 붙어서 작업하며, 차량도 전신주 활선전로에 매우 가까워 접촉될 듯하다.
동영상의 활선 작업에서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작업자가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아 감전 위험이 있다.
○ 작업자가 활선작업용 기구 및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감전 위험이 있다.
○ 작업자가 충전전로에서 접근한계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위험하다.
2. 동영상의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작업복 불량 작업자가 이동식 크레인에 수신호를 하면서 기둥 위 강관 파이프 양중 작업을 하고 있다. 인양물이 작업자 머리 위를 지나 골조에 부딪친다. 』
○ 유도 로프 미사용
○ 인양물 하부에 출입 금지 미실시
○ 훅 해지장치 미사용
○ 샤클 체결 방향 잘못됨
3. 사출성형기 노즐 이물질 제거 작업 중에서 감전 사고가 발생한다.
동종 재해방지대책 3가지를 적으시오.
『안전모와 장갑을 착용한 작업자가 사출성형기 작업 후 개방하여 잔류물을 정리하려고 금형의 볼트를 손으로 빼려다 손이 눌린다. 』
○ 제거 작업 시작 전, 전원을 차단
○ 제거 작업 시 절연용 보호구(내전압용 절연장갑 등)를 착용
○ 제거 작업 시 전용공구 사용
○ 사출성형기 충전부에 방호덮개를 설치
4. 동영상과 관련하여, 안전을 위한 행동목표 2가지를 쓰시오.
『 베어링이 담긴 상자를 액체가 담긴 욕조에 크레인으로 내려 담궜다가 올려서 빼는 작업장이 액체가 유기용제 화학물질인지 그냥 물인지 정보는 없다. 크레인 조작 스위치의 전선이 욕조에 담궈진다.
노란색 고무장갑, 고무장화는 착용했지만 안전모/마스크 등 얼굴에 아무것도 없는 작업자가 담배를 피우면서 한 손으로 허공에 매달려 있는 크레인 조작스위치를 조작하고, 한 손으로 베어링 상자가 걸린 훅을 잡고 있다. 훅 해지장치는 보이지 않고, 베어링 상자를 올린 후에 앞만 보며 크레인 조작 스위치와 훅을 당겨 이동한다.
작업자는 구멍 뚫린 파레트 위에서 작업 중 자꾸 미끄러진다.
젖은 바닥과 장화, 구멍이 뚫린 배수구』
○ 작업장 바닥이 액체로 미끄러워 넘어질 위험 : ⇨ 작업장 바닥 등을 안전하고 청결한 상태로 유지
○ (훅) 해지장치 미사용으로 낙하물 위험: ⇨ (훅) 해지장치 사용
○ 낙하물 위험 구간에서 작업 : ⇨ 낙하물 위험 구간 밖에서 작업
○ 낙하물 위험 구간에서 안전모 / 안전화 미착용 : ⇨ 안전모 / 안전화 착용
5. 다음 빈칸을 채우시오.
가) 화면에 나타난 항타기 권상장치의 드럼축과 권상장치로부터 첫 번째 도르래의 축과의 거리를 권상장치의 드럼폭의 ( ① 15 )배 이상으로 해야 한다.
나) 도르래는 권상장치의 드럼의 ( ② 중심 )을 지나야하며 축과 ( ③ 수직면 )상에 있어야 한다.
6. 동영상에서와 재해를 산업재해 기록, 분류에 관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때 해당되는 재해발생형태를 쓰시오.
『증기 스팀배관의 보수를 위해 플라이어 (속칭 뺀찌) 로 누출부위를 점검하던 중, 배관을 감싸고 있는 스펀지 (단열재)를 툭툭 건드린다. 스팀이 빠져나오면서 물이 떨어져 작업자 얼굴 찡그린다. 작업자는 안전모와 장갑만 착용하고 있고, 보안경은 없다.』
○ 재해발생형태 : 이상온도 노출ㆍ접촉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특수 화학설비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해야 할 장치나 조치를 2가지 쓰시오. (단, 계측장비는 제외)
○ 자동경보장치
○ 감시인을 두고 그 특수화학설비의 운전 중 설비를 감시
8. 동영상의 재해발생형태 및 위험요인 2가지는?
『용접 준비 중에 분전반 판넬에서 전원차단없이 용접기 케이블을 결선하고 있다. 이 때 작업자는 절연장갑 대신 일반 장갑을 착용하고 있다. 결선작업이 끝나고 용접기에 손을 내는 순간 감전 사고 발생』
○ 재해발생 형태 : 감전
○ 위험요인
① 누전차단기 미설치
② 절연용 보호구 미착용
③ 접지 불량
9. 동영상 작업의 불안전한 행동 3가지를 쓰시오.
『지게차 포크에 파렛트를 끼워 놓았다. 그 위에 작업자 2명이 올라가 서서 전구를 교체하고 있다. 전구를 교체하자 마자 불이 들어온다. 교체가 완료된 후 작업자가 포크 위에서 내려오지 않은 상태에서 지게차 운전자가 시동을 걸어 그 반동에 의해 작업자가 떨어진다. 2명 모두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았고, 주변에 신호수는 없다. 』
○ 지게차의 주된 용도 외의 사용
○ 전구 교체 전 전원 미차단
○ 보호구 미착용
문제
1. 작업자가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 중이다. 두꺼운 장갑 및 절연용 안전모를 착용하였으나 안전대는 착용하지 않았다. 차량 밑에서 얇은 장갑을 착용한 다른 작업자가 자재를 달줄로 매달고 올려보낸다. 작업자가 활선전로에 가까이 붙어서 작업하며, 차량도 전신주 활선전로에 매우 가까워 접촉될 듯하다.
동영상의 활선 작업에서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
○
2. 동영상의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작업복 불량 작업자가 이동식 크레인에 수신호를 하면서 기둥 위 강관 파이프 양중 작업을 하고 있다. 인양물이 작업자 머리 위를 지나 골조에 부딪친다. 』
○
○
○
3. 사출성형기 노즐 이물질 제거 작업 중에서 감전 사고가 발생한다.
동종 재해방지대책 3가지를 적으시오.
『안전모와 장갑을 착용한 작업자가 사출성형기 작업 후 개방하여 잔류물을 정리하려고 금형의 볼트를 손으로 빼려다 손이 눌린다. 』
○
○
○
4. 동영상과 관련하여, 안전을 위한 행동목표 2가지를 쓰시오.
『 베어링이 담긴 상자를 액체가 담긴 욕조에 크레인으로 내려 담궜다가 올려서 빼는 작업장이 액체가 유기용제 화학물질인지 그냥 물인지 정보는 없다. 크레인 조작 스위치의 전선이 욕조에 담궈진다.
노란색 고무장갑, 고무장화는 착용했지만 안전모/마스크 등 얼굴에 아무것도 없는 작업자가 담배를 피우면서 한 손으로 허공에 매달려 있는 크레인 조작스위치를 조작하고, 한 손으로 베어링 상자가 걸린 훅을 잡고 있다. 훅 해지장치는 보이지 않고, 베어링 상자를 올린 후에 앞만 보며 크레인 조작 스위치와 훅을 당겨 이동한다.
작업자는 구멍 뚫린 파레트 위에서 작업 중 자꾸 미끄러진다.
젖은 바닥과 장화, 구멍이 뚫린 배수구』
○
○
5. 다음 빈칸을 채우시오.
가) 화면에 나타난 항타기 권상장치의 드럼축과 권상장치로부터 첫 번째 도르래의 축과의 거리를 권상장치의 드럼폭의 ( ① )배 이상으로 해야 한다.
나) 도르래는 권상장치의 드럼의 ( ② )을 지나야하며 축과 ( ③ )상에 있어야 한다.
6. 동영상에서와 재해를 산업재해 기록, 분류에 관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때 해당되는 재해발생형태를 쓰시오.
『증기 스팀배관의 보수를 위해 플라이어 (속칭 뺀찌) 로 누출부위를 점검하던 중, 배관을 감싸고 있는 스펀지 (단열재)를 툭툭 건드린다. 스팀이 빠져나오면서 물이 떨어져 작업자 얼굴 찡그린다. 작업자는 안전모와 장갑만 착용하고 있고, 보안경은 없다.』
○ 재해발생형태 :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특수 화학설비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해야 할 장치나 조치를 2가지 쓰시오. (단, 계측장비는 제외)
○
○
8. 동영상의 재해발생형태 및 위험요인 2가지는?
『용접 준비 중에 분전반 판넬에서 전원차단없이 용접기 케이블을 결선하고 있다. 이 때 작업자는 절연장갑 대신 일반 장갑을 착용하고 있다. 결선작업이 끝나고 용접기에 손을 내는 순간 감전 사고 발생』
○ 재해발생 형태 :
○ 위험요인
①
②
③
9. 동영상 작업의 불안전한 행동 3가지를 쓰시오.
『지게차 포크에 파렛트를 끼워 놓았다. 그 위에 작업자 2명이 올라가 서서 전구를 교체하고 있다. 전구를 교체하자 마자 불이 들어온다. 교체가 완료된 후 작업자가 포크 위에서 내려오지 않은 상태에서 지게차 운전자가 시동을 걸어 그 반동에 의해 작업자가 떨어진다. 2명 모두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았고, 주변에 신호수는 없다. 』
○
○
○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기사 1회_1부 (0) | 2025.04.05 |
---|---|
2020년 기사 3회_3부 (0) | 2025.04.05 |
2020년 기사 3회_1부 (0) | 2025.04.05 |
2020년 기사2회_3부 (0) | 2025.04.04 |
2020년 기사 2회_2부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