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9문제이며, 배점은 총 45점 만점,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속 일러스트 이미지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www.kosha.or.kr)
문제/정답
1. 압쇄기로 아파트를 해체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신호수가 압쇄기 근처에서 신호를 보내고 있는데 그 신호수가 떨어진 해체물에 맞는다.
![]() |
![]() |
가) 동영상에서 보여주고 있는 해체 장비 명칭을 쓰시오 : 압쇄기
나) 동영상에서 보여주고 있는 해체 작업을 할 때 재해 예방 대책을 2가지 쓰시오.
○ 압쇄기 부착과 해체에는 경험이 많은 사람으로서 선임된 자에 한하여 실시한다.
○ 압쇄기 연결구조부는 보수점검을 수시로 하여야 한다.
○ 배관 접속부의 핀, 볼트 등 연결구조의 안전 여부를 점검하여야 한다.
2. 화면 상의 기계 작업 시 핵심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섬유공장에서 실을 감는 기계가 돌아가고 있고 장갑을 착용한 작업자가 그 밑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 갑자기 실이 끊어지며 기계가 멈춘다. 이때 작업자가 회전하는 대형 회전체의 문을 열고 허리까지 안으로 집어넣고 안을 들여다보며 점검할 때 갑자기 기계가 돌아가며 작업자의 몸이 회전체에 낀다.』

○ 정비를 할 때, 기계의 운전을 정지기계의 전원을 차단하여 정지
⇨ 정지시키지 않고 점검 시 끼임 재해 위험
○ 적절하지 아니한 작업방법으로 인하여 기계가 갑자기 가동될 우려가 있는 경우 작업지휘자를 배치해야 한다.
⇨ 하지 않을 때, 끼임 재해 위험
3. 박공지붕 설치 작업자들(안전모, 안전화 착용)이 박공지붕 위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던 중 작업자들 뒤에 쌓여있던 적재물들이 굴러와 작업자 등에 충돌하여 앞으로 쓰러지는 영상이다.
동영상 작업 중 안전대책 3가지를 쓰시오.
![]() |
![]() |
○ 위험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지 않는다.
○ 추락방호망을 설치한다.
○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하고, 안전대를 착용한다.
○ 중량물이 구르는 방향인 경사면 아랠로는 작업자의 출입을 제한한다.
4. 화면 상의 작업 시 재해를 막기 위해서 설치해야 하는 방호장치를 2가지 적으시오.
『 자동차 하부에서 정비 작업을 하다가 보안경을 쓰지 않아 얼굴쪽으로 이물질이 튀어 팔로 닦는다. 그러다가 리프트를 건드리며, 작업자가 깔린다.』

○ 안전지지대
○ 안전블럭
5. 화면 상의 작업 시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 3가지를 쓰시오.
『 파지압축장에서 그 작업자 두 명이 컨베이어 위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데, 너클 크레인 (Knuckle Crane)에 달린 집게로 파지를 들어서 작업자 머리 위를 통과한 후 흔들어서 파지를 떨어뜨리고 있다. 작업자 2명이 평지에서 작업하다가 집게가 놓친 파지에 맞는다.』

○ 낙하물 위험구간에서 작업
○ 불안전한 작업발판에서 작업
○ 안전모 미착용
6. 작업자 3명이 흡연 후, 2명이 맨홀 뚜껑 개구부를 열고 밀폐공간에 들어간다. 1명이 위에서 보니 안에 들어간 2명이 쓰러져있다. 산소 결핍이 우려되는 밀폐 공간에서 작업 시 문제점 3가지를 쓰시오.
![]() |
![]() |
○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사람을 지명하여 작업시작 전 밀폐공간에서 공기상태를 측정하지 않았다.
○ 산소 결핍이 인정될 경우 송기를 위한 설비를 설치하여 필요한 양의 공기를 공급하여야 하나 하지 않았다.
○ 공기호흡기, 송기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
7. 방호장치가 없는 둥근톱 기계에 고정식 접촉예방장치를 설치하고자 한다.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고시상, ① 하단과 가공재 사이의 최대 거리 ② 하단과 테이블 사이의 최대 높이는 각각 얼마로 조정하는지 쓰시오

① 하단과 가공재 사이의 최대 거리 : 8 mm
② 하단과 테이블 사이의 최대 높이 : 25 mm
8. 실험실에서 H2SO4(황산)을 비커에 따르다가 손에 묻는다. 작업자는 맨손이며 마스크를 미착용하고 있다. 황산이 인체로 흡수되는 경로를 2가지 쓰시오.

○ 호흡기
○ 소화기
○ 피부
9. 화면상의 작업에서 위험요인 2가지는?
『낡고 둥근 의자에 올라서서 흔들거리며, 가정용 배전반 전기 점검 중, 차단기를 직접 손으로 만지다가가 감전되어 넘어짐. 차단기 일부는 on 일부는 off 상태.』

○ 작업 전, 전원 미차단
○ 절연용 보호구 (내전압용 절연장갑 등)를 미착용
○ 불안정한 (불안전한) 작업: 발판에서 작업
문제
1. 압쇄기로 아파트를 해체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신호수가 압쇄기 근처에서 신호를 보내고 있는데 그 신호수가 떨어진 해체물에 맞는다.
![]() |
![]() |
가) 동영상에서 보여주고 있는 해체 장비 명칭을 쓰시오 :
나) 동영상에서 보여주고 있는 해체 작업을 할 때 재해 예방 대책을 2가지 쓰시오.
○
○
○
2. 화면 상의 기계 작업 시 핵심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섬유공장에서 실을 감는 기계가 돌아가고 있고 장갑을 착용한 작업자가 그 밑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 갑자기 실이 끊어지며 기계가 멈춘다. 이때 작업자가 회전하는 대형 회전체의 문을 열고 허리까지 안으로 집어넣고 안을 들여다보며 점검할 때 갑자기 기계가 돌아가며 작업자의 몸이 회전체에 낀다.』

○
○
3. 박공지붕 설치 작업자들(안전모, 안전화 착용)이 박공지붕 위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던 중 작업자들 뒤에 쌓여있던 적재물들이 굴러와 작업자 등에 충돌하여 앞으로 쓰러지는 영상이다.
동영상 작업 중 안전대책 3가지를 쓰시오.
![]() |
![]() |
○
○
○
4. 화면 상의 작업 시 재해를 막기 위해서 설치해야 하는 방호장치를 2가지 적으시오.
『 자동차 하부에서 정비 작업을 하다가 보안경을 쓰지 않아 얼굴쪽으로 이물질이 튀어 팔로 닦는다. 그러다가 리프트를 건드리며, 작업자가 깔린다.』

○
○
5. 화면 상의 작업 시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 3가지를 쓰시오.
『 파지압축장에서 그 작업자 두 명이 컨베이어 위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데, 너클 크레인 (Knuckle Crane)에 달린 집게로 파지를 들어서 작업자 머리 위를 통과한 후 흔들어서 파지를 떨어뜨리고 있다. 작업자 2명이 평지에서 작업하다가 집게가 놓친 파지에 맞는다.』

○
○
○
6. 작업자 3명이 흡연 후, 2명이 맨홀 뚜껑 개구부를 열고 밀폐공간에 들어간다. 1명이 위에서 보니 안에 들어간 2명이 쓰러져있다. 산소 결핍이 우려되는 밀폐 공간에서 작업 시 문제점 3가지를 쓰시오.
![]() |
![]() |
○
○
○
7. 방호장치가 없는 둥근톱 기계에 고정식 접촉예방장치를 설치하고자 한다.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고시상, ① 하단과 가공재 사이의 최대 거리 ② 하단과 테이블 사이의 최대 높이는 각각 얼마로 조정하는지 쓰시오

① 하단과 가공재 사이의 최대 거리 :
② 하단과 테이블 사이의 최대 높이 :
8. 실험실에서 H2SO4(황산)을 비커에 따르다가 손에 묻는다. 작업자는 맨손이며 마스크를 미착용하고 있다. 황산이 인체로 흡수되는 경로를 2가지 쓰시오.

○
○
○
9. 화면상의 작업에서 위험요인 2가지는?
『낡고 둥근 의자에 올라서서 흔들거리며, 가정용 배전반 전기 점검 중, 차단기를 직접 손으로 만지다가가 감전되어 넘어짐. 차단기 일부는 on 일부는 off 상태.』

○
○
○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기사 3회_3부 (0) | 2025.04.05 |
---|---|
2020년 기사 3회_2부 (0) | 2025.04.05 |
2020년 기사2회_3부 (0) | 2025.04.04 |
2020년 기사 2회_2부 (0) | 2025.04.03 |
2020년 기사 2회_1부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