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9문제이며, 배점은 총 45점 만점,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속 일러스트 이미지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www.kosha.or.kr)
문제/정답
1. 화면 상의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 방전가공기에서 발생한 (가) 재해 발생 형태 이름과 (나) 재해 발생 원인 2가지를 쓰시오.
배전반에서 START 버튼을 누르고 방전가공기로 금형 작업을 시작한 후 기계에서 연기가 피어오른다. 그런데, 재료에서 절연유가 계속 흘러 나와서 맨손으로 걸레를 들고 절연유가 흐르고 있는 기계 (전원이 켜진 상태)를 슥슥 꼼꼼하게 닦는다.
맨손 오른쪽 검지로 금형을 살짝 건드리는 순간 닦다가 뒤로 넘어진다.
(가) 재해 발생 형태 : 감전 (= 전류 접촉)
(나) 재해 발생 원인 :
○ 공작기계 충전부분을 방호하지 않음.
○ 전원 미차단.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 사업주가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점검하도록 해야 할 사항을 3가지 쓰시오.
![]() |
![]() |
○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 방호장치의 기능
○ 전단기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3. 동영상의 작업 중 미착용한 보호구 2가지를 쓰시오.
『 작업자가 그라인더 연마작업을 하면서 보안경, 안전모, 귀마개 등 미착용 상태임, 작업 끝나고 눈을 비빈다.』
○ 보안경
○ 방진마스크
○ 안전모
○ 귀마개 혹은 귀덮개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영상의 재해에서 구조자가 착용해야 할 보호구를 쓰시오.
『 맨홀에서 전화선 작업중 의식불명의 피해자가 발생』
○ 공기호흡기
○ 송기마스크
5. 동영상의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크레인을 이용하여 2줄걸이로 파이프 다발을 운반 중인데 유도로프는 없다. 와이어로 양쪽 끝 두바퀴 감아서 샤클로 체결되어 있는데, 샤클 1개가 반대로 체결되어 있고, 수신호자가 발판도 없는 비계 중간쯤 매달려서 안전대 안전모 없이 수신호 중이다. 신호자가 손짓을 하여 크레인이 이에 맞춰 운전을 하지만 신호가 잘 이뤄지지 않아 파이프가 철골 H 빔에 부딪힌다.
작업자가 손으로 받으려고 하다가 안 되니 파이프를 흔들다가 파이프에 맞는다. 훅 해지장치는 보이지 않는다. 』
○ 유도 로프 미사용
○ 인양물 하부에 출입 금지 미실시
○ 훅 해지장치 미사용
○ 샤클 체결 방향 잘못됨
6. 전동 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 중 이다. 기계가 정지하여 점검하던 중 맨손이 권선기에 닿는 순간 작업자가 쓰러진다.
동영상의 재해발생유형과 재해발생원인을 쓰시오.
○ 재해발생형태 : 감전
○ 재해발생원인
· 점검 전 전원 미차단
· 절연용 보호구 미착용
7.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동력이 걸리지 않은 모터 벨트를 몇 차례 위에서 아래쪽으로 밀면서 점검한다. 위에서 아래쪽으로 2/3되는 지점에서 벨트 가장자리에서 장갑이 끼어 작업자가 비명을 지른다. 모터 벨트가 반대방향인 아래쪽에서 위로 돌면서 장갑이 벨트를 타고 올라가서 위쪽에 있는 모터 상부 고정외부덮개에 손이 끼인다. 동영상의 위험점과 정의를 쓰시오.
○ 위험점 : 접선 물림점
○ 정의 : 회전하는 부분의 접선 방향으로 물려 들어가는 위험점
8. 사업주가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에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보수하여야 하는
사항 3가지를 쓰시오.
○ 부재의 손상ㆍ변형ㆍ부식ㆍ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 버팀대의 긴압의 정도
○ 부재의 접속부 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 침하의 정도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비계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적합한 작업발판의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 |
![]() |
○ 발판재료는 작업할 때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것으로 할 것
○ 작업발판의 지지물은 하중에 의하여 파괴될 우려가 없는 것을 사용할 것
○ 작업발판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둘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킬 것
문제
1. 화면 상의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 방전가공기에서 발생한 (가) 재해 발생 형태 이름과 (나) 재해 발생 원인 2가지를 쓰시오.
배전반에서 START 버튼을 누르고 방전가공기로 금형 작업을 시작한 후 기계에서 연기가 피어오른다. 그런데, 재료에서 절연유가 계속 흘러 나와서 맨손으로 걸레를 들고 절연유가 흐르고 있는 기계 (전원이 켜진 상태)를 슥슥 꼼꼼하게 닦는다.
맨손 오른쪽 검지로 금형을 살짝 건드리는 순간 닦다가 뒤로 넘어진다.
(가) 재해 발생 형태 :
(나) 재해 발생 원인 :
○
○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 사업주가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점검하도록 해야 할 사항을 3가지 쓰시오.
![]() |
![]() |
○
○
○
3. 동영상의 작업 중 미착용한 보호구 2가지를 쓰시오.
『 작업자가 그라인더 연마작업을 하면서 보안경, 안전모, 귀마개 등 미착용 상태임, 작업 끝나고 눈을 비빈다.』
○
○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영상의 재해에서 구조자가 착용해야 할 보호구를 쓰시오.
『 맨홀에서 전화선 작업중 의식불명의 피해자가 발생』
○
○
5. 동영상의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크레인을 이용하여 2줄걸이로 파이프 다발을 운반 중인데 유도로프는 없다. 와이어로 양쪽 끝 두바퀴 감아서 샤클로 체결되어 있는데, 샤클 1개가 반대로 체결되어 있고, 수신호자가 발판도 없는 비계 중간쯤 매달려서 안전대 안전모 없이 수신호 중이다. 신호자가 손짓을 하여 크레인이 이에 맞춰 운전을 하지만 신호가 잘 이뤄지지 않아 파이프가 철골 H 빔에 부딪힌다.
작업자가 손으로 받으려고 하다가 안 되니 파이프를 흔들다가 파이프에 맞는다. 훅 해지장치는 보이지 않는다. 』
○
○
○
6. 전동 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 중 이다. 기계가 정지하여 점검하던 중 맨손이 권선기에 닿는 순간 작업자가 쓰러진다.
동영상의 재해발생유형과 재해발생원인을 쓰시오.
○ 재해발생형태 :
○ 재해발생원인
·
·
7.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동력이 걸리지 않은 모터 벨트를 몇 차례 위에서 아래쪽으로 밀면서 점검한다. 위에서 아래쪽으로 2/3되는 지점에서 벨트 가장자리에서 장갑이 끼어 작업자가 비명을 지른다. 모터 벨트가 반대방향인 아래쪽에서 위로 돌면서 장갑이 벨트를 타고 올라가서 위쪽에 있는 모터 상부 고정외부덮개에 손이 끼인다. 동영상의 위험점과 정의를 쓰시오.
○ 위험점 :
○ 정의 :
8. 사업주가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에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보수하여야 하는
사항 3가지를 쓰시오.
○
○
○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비계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적합한 작업발판의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 |
![]() |
○
○
○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기사 3회_1부 (0) | 2025.04.05 |
---|---|
2020년 기사2회_3부 (0) | 2025.04.04 |
2020년 기사 2회_1부 (0) | 2025.04.02 |
2020년 기사 1회_3부 (0) | 2025.04.02 |
2020년 기사 1회_2부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