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작업형

2024년 기사 2회_3부

다솔변샘_안전 2025. 3. 9. 11:48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8문제이며, 배점은 총 4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 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정답

 

1. 터널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 상, 터널 공사 시 터널작업면의 조도 관련 (      ) 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 


​○ 막장구간 ( 70 ) 럭스 이상 
○ 터널중간구간 ( 50 ) 럭스 이상
○ 터널입구 출구, 수직구 구간 ( 30 ) 럭스 이상



2. 밀폐된 공간(잠함, 우물통, 수직갱) 적정공기 농도 빈칸( 가 )을 채우고, 산소부족 시 착용 보호구 2가지( 나 )를 쓰시오.



가. 적정 공기량
○ 산소농도의 범위가 ( 18% )이상 ( 23.5% )미만 
○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 30ppm )미만 
○ 황화수소의 농도가 ( 10ppm ) 미만인 수준의 공기

나. 산소부족 시 착용 보호구
○ 송기마스크
○ 공기호흡기



3. 아세틸렌용접장치 발생기랑 (   )연결하는 부위에 설치하는 안전장치를 기입하고 아세틸렌용접장치를 보관하기 적합한곳 2곳을 쓰시오.  ※유사문제로 대체


가. 안전장치
○ 사업주는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 취관 ) 마다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 주관 ) 및 취관에
가장 가까운 분기관마다 안전기를 부착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 사업주는 가스용기가 발생기와 분리되어 있는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대하여 발생기와 가스용기 
사이에 ( 안전기 )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보관장소 적합한 곳
○ 용기사용시 저장시에는 반드시 똑바로 세우고 통풍이 양호한 장소에 보관한다
○ 직사광선이 비치는 곳은 피한다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낙하물 방지망 또는 방호선반을 설치하는 경우, 사업주의 준수사항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높이 ( 10 )m 이내마다 설치하고, 내민 길이는 벽면으로부터 ( 2 )m 이상으로 할 것

○ 수평면과의 각도는 ( 20 )도 이상 ( 30 )도 이하를 유지할 것 



5.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콘크리트 분배기, 콘크리트 펌프카 등 콘크리트타설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사업주의 준수사항을 3가지만 쓰시오.


○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콘크리트타설장비를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하였으면 즉시 보수할 것
○ 건축물의 난간 등에서 작업하는 근로자가 호스의 요동ㆍ선회로 인하여 추락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난간 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 콘크리트타설장비의 붐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주변의 전선 등에 의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할 것



​6. 공사 중인 엘리베이터 피트홀 영상을 보여준다.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로서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해야하는 시설물 4가지를 쓰시오. 



○ 안전난간
○ 울타리
○ 수직형 추락방망
○ 덮개



7. 리프트 무너짐 원인 2가지 및 깔판을 설치해야 하는 풍속을 쓰시오. 


가. 리프트가 넘어지거나 붕괴될 수 있는원인2 가지
○ 연약한 지반에 설치되었을 경우 
○ 적치대 적재하중을 초과하여 운행한 경우.

나. 깔판을 설치해야 하는 풍속
○ 순간 풍속 30m/s 초과하는 경우



8. 사진의 차량계 건설기계의 명칭 및 용도를 쓰시오. 



○ 명칭 : 스크레이퍼


※ 문제

 

1. 터널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 상, 터널 공사 시 터널작업면의 조도 관련 (      ) 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 


​○ 막장구간 (       ) 럭스 이상 
○ 터널중간구간 (      ) 럭스 이상
○ 터널입구 출구, 수직구 구간 (      ) 럭스 이상



2. 밀폐된 공간(잠함, 우물통, 수직갱) 적정공기 농도 빈칸( 가 )을 채우고, 산소부족 시 착용 보호구 2가지( 나 )를 쓰시오.



가. 적정 공기량
○ 산소농도의 범위가 (               )이상 (               )미만 
○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            )미만 
○ 황화수소의 농도가 (          ) 미만인 수준의 공기

나. 산소부족 시 착용 보호구
○ 
○ 



3. 아세틸렌용접장치 발생기랑 (   )연결하는 부위에 설치하는 안전장치를 기입하고 아세틸렌용접장치를 보관하기 적합한곳 2곳을 쓰시오.  ※유사문제로 대체


가. 안전장치
○ 사업주는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        ) 마다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      ) 및 취관에
가장 가까운 분기관마다 안전기를 부착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 사업주는 가스용기가 발생기와 분리되어 있는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대하여 발생기와 가스용기 
사이에 (        )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보관장소 적합한 곳
○ 
○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낙하물 방지망 또는 방호선반을 설치하는 경우, 사업주의 준수사항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높이 (      )m 이내마다 설치하고, 내민 길이는 벽면으로부터 (      )m 이상으로 할 것

○ 수평면과의 각도는 (     )도 이상 (     )도 이하를 유지할 것 



5.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콘크리트 분배기, 콘크리트 펌프카 등 콘크리트타설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사업주의 준수사항을 3가지만 쓰시오.

○ 
○ 
○ 



​6. 공사 중인 엘리베이터 피트홀 영상을 보여준다.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로서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해야하는 시설물 4가지를 쓰시오. 



○ 
○ 
○ 
○ 



7. 리프트 무너짐 원인 2가지 및 깔판을 설치해야 하는 풍속을 쓰시오. 


가. 리프트가 넘어지거나 붕괴될 수 있는원인2 가지
○ 
○ 


나. 깔판을 설치해야 하는 풍속
○ 



8. 사진의 차량계 건설기계의 명칭 및 용도를 쓰시오. 



○ 명칭 :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기사 3회_2부  (0) 2025.03.14
2024년 기사 3회_1부  (0) 2025.03.12
2024년 기사 2회_2부  (0) 2025.03.09
2024년 기사 2회_1부  (0) 2025.03.09
2024년 기사 1회_3부  (0)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