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작업형

2024년 기사 2회_2부

다솔변샘_안전 2025. 3. 9. 11:32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8문제이며, 배점은 총 4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 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정답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추락방호망의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 추락방호망의 설치 위치는 가능하면 작업면으로부터 가까운 지점에 설치하여야 하며, 작업면으로부터 망의 설치지점까지의 수직거리는 10m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 추락방호망은 수평으로 설치하고, 망의 처짐은 짧은 변 길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할 것. 
○ 건축물 등의 바깥쪽으로 설치하는 경우 추락방호망의 내민 길이는 벽면으로부터  3m 이상 되도록 할 것.



2. 크레인으로 인양 중인 하물(흄관) 아래에 작업자들이 우르르 지나 다니고 서 있고, 화물이 좌우로 흔들리는 영상이다. 다음물음에 답하시오.
​​


(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폐기기준 4가지를 쓰시오.

○ 이음매가 있는 것
○ 꼬인 것
○ 심하게 변형 부식된 것
○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 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 이상인 것
○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 열과 전기충격에 의해 손상된 것


(나) 영상 속 발생가능한 재해발생형태는 무엇인지 쓰시오.
○ 맞음



3. 동영상에 보이는 “라”의 부재 명칭 및 설치기준을 1가지 쓰시오. 


○ 부재명칭 : 발끝막이판
○ 설치기준 :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10c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4. 타워크레인 방호 장치 3가지를 쓰시오. 


○ 과부하 방지 장치
○ 권과 방지 장치
○ 비상 정지 장치
○ 제동장치



5.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사업주가 확인해야 하는 사항 4가지를 쓰시오.


​​○ 작업 일시, 기간, 장소 및 내용 등 작업 정보
○ 관리감독자, 근로자, 감시인 등 작업자 정보
○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의 측정결과 및 후속조치 사항
○ 작업 시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의 종류
○ 비상연락체계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가설통로 설치시 준수사항 관련해서 (   ) 안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 


​​○ 견고한 구조로 할 것
○ 경사는 ( 30 ) 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 2 )미터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경사가 ( 15 )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 m 이상인 경우에는  10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 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7. 안전난간의 설명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상부난간대는 바닥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 ① 90 )cm 이상 지점에 설치하고, 상부난간대를 ( ② 120 )cm 이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난간대는 상부 난간대와 바닥면 등의 중간에 설치한다. 
○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 ③ 10 )c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 난간대는 지름 ( ④ 2.7 )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가 있는 재료일 것 
○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 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8. 작업자가 이동식 비계를 올라가서 작업하고 내려오다 흔들려서 떨어진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이동식비계의 바퀴에는 뜻밖의 갑작스러운 이동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 2가지를 쓰시오.
   ○​ 브레이크ㆍ쐐기등으로 바퀴를 고정
   ○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하거나 아웃트리거(outrigger, 전도방지용 지지대)를 설치

​나.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을 쓰시오.  정답 : ( 250 ) kg


※ 문제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추락방호망의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 

○ 
○ 



2. 크레인으로 인양 중인 하물(흄관) 아래에 작업자들이 우르르 지나 다니고 서 있고, 화물이 좌우로 흔들리는 영상이다. 다음물음에 답하시오.
​​


(가)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폐기기준 4가지를 쓰시오.

○ 
○ 

○ 


(나) 영상 속 발생가능한 재해발생형태는 무엇인지 쓰시오.
○ 



3. 동영상에 보이는 “라”의 부재 명칭 및 설치기준을 1가지 쓰시오. 


○ 부재명칭 : 


○ 설치기준 :



4. 타워크레인 방호 장치 3가지를 쓰시오. 


​​○ 
○ 
○ 



5.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사업주가 확인해야 하는 사항 4가지를 쓰시오.


​​○ 
○ 
○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가설통로 설치시 준수사항 관련해서 (   ) 안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 


​​○ 견고한 구조로 할 것
○ 경사는 (      ) 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      )미터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경사가 (       )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 m 이상인 경우에는  10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 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7. 안전난간의 설명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상부난간대는 바닥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 ①     )cm 이상 지점에 설치하고, 상부난간대를 ( ②      )cm 이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난간대는 상부 난간대와 바닥면 등의 중간에 설치한다. 
○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 ③     )c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 난간대는 지름 ( ④      )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가 있는 재료일 것 
○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 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8. 작업자가 이동식 비계를 올라가서 작업하고 내려오다 흔들려서 떨어진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이동식비계의 바퀴에는 뜻밖의 갑작스러운 이동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 2가지를 쓰시오.
   ○​ 
   ○ 

​나.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을 쓰시오.  정답 :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기사 3회_1부  (0) 2025.03.12
2024년 기사 2회_3부  (0) 2025.03.09
2024년 기사 2회_1부  (0) 2025.03.09
2024년 기사 1회_3부  (0) 2025.03.06
2024년 기사 1회_2부  (0)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