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작업형

2024년 기사 1회_3부

다솔변샘_안전 2025. 3. 6. 21:29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8문제이며, 배점은 총 4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 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정답


​1. 근로자의 추락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경우 구조에 맞도록 (      ) 에 알맞은 

것을 쓰시오. 


1.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 발끝막이판 ) 및 난간기둥으로 구성할 것. 다만,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은 이와 비슷한 구조와 성능을 가진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2.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ㆍ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이하 “바닥면등”이라 한다)으로부터 ( 90 ) cm 이상 지점에 설치하고, 상부 난간대를 ( 120 ) cm 이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는 상부 난간대와 바닥면등의 중간에 설치해야 하며, (  120 ) cm 이상 지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를 (  2 ) 단 이상으로 균등하게 설치하고 난간의 상하 간격은 ( 60 ) c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2.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 4가지를 쓰시오. 


(단, 이음매가 있는 것, 꼬인 것 제외)


○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인 것
○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 심하게 변형되거나 부식된 것
○ 열과 전기충격에 의해 손상된 것



3. 동바리를 조립하는 경우, 하중의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동바리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사업주의 조치사항 2가지를 쓰시오. 


   ○ 받침목이나 깔판의 사용 <2023년 11월 개정>
   ○ 콘크리트 타설
   ○ 말뚝박기
   



4. 강풍 시 타워크레인의 작업제한에 대한 풍속기준을 쓰시오.


○ 해체작업 중지 : 순간풍속이  10m/s를 초과하는 경우
○ 운전작업 중지 : 순간풍속이  15m/s를 초과하는 경우



5. 영상에 보이는 토공기계의 무너짐 방지 방법을 3가지 쓰시오.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아웃트리거ㆍ받침 등 지지구조물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ㆍ받침목 등을 사용할 것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할 것
아웃트리거ㆍ받침 등 지지구조물이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말뚝 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해당

    지지구조물을 고정시킬 것
 궤도 또는 차로 이동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해서는 불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 클램프(rail clamp) 및 쐐기 등으로 고정시킬 것




​6. 지하에서 작업할 때 가스농도 측정하게 해야하는 경우 3가지? 


○ 당일의 작업을 개시하기 전
○ 교대자가 최초로 작업을 시작하기 전 
○ 작업에 종사하는 전체 근로자가 작업을 하고 있던 장소를 떠났다가 돌아와 작업을 재개하기 전 
○ 근로자의 신체, 환기장치 등에 이상이 있을 때 측정한다.



​7. 강관비계와 건물이 연결된? 철물 이름, 설치기준을 쓰시오.



○ 철물의 이름 : 벽이음재
○ 비계의 벽 이음재의 역할
   1. 비계의 흔들림 방지
   2. 비계의 넘어짐 방지
   3. 비계의 변형 및 좌굴 방지​

 



8. 사업주가 동영상의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준수하도록 할 사항 3가지를 쓰시오.
 (단, 보호구 관련은 제외)


○ 얼어붙은 다이나마이트는 화기에 접근시키거나 그 밖의 고열물에 직접 접촉시키는 등 위험한 방법으로

   융해되지 않도록 할 것
○ 화약이나 폭약을 장전하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서 화기를 사용하거나 흡연을 하지 않도록 할 것
○ 장전구(裝塡具)는 마찰ㆍ충격ㆍ정전기 등에 의한 폭발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것을 사용할 것
○ 발파공의 충진재료는 점토ㆍ모래 등 발화성 또는 인화성의 위험이 없는 재료를 사용할 것

 


※ 문제


​1. 근로자의 추락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경우 구조에 맞도록 (      ) 에 알맞은 

것을 쓰시오. 


1.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               ) 및 난간기둥으로 구성할 것. 다만,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은 이와 비슷한 구조와 성능을 가진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2.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ㆍ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이하 “바닥면등”이라 한다)으로부터 ( 90 ) cm 이상 지점에 설치하고, 상부 난간대를 (       ) cm 이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는 상부 난간대와 바닥면등의 중간에 설치해야 하며, (         ) cm 이상 지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를 (     ) 단 이상으로 균등하게 설치하고 난간의 상하 간격은 (       ) c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2.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 4가지를 쓰시오. 


(단, 이음매가 있는 것, 꼬인 것 제외)


​○ 
○ 
○ 

○ 



3. 동바리를 조립하는 경우, 하중의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동바리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사업주의 조치사항 2가지를 쓰시오. 


   ○ 받침목이나 깔판의 사용 <2023년 11월 개정>
   ○ 
   ○ 
   



4. 강풍 시 타워크레인의 작업제한에 대한 풍속기준을 쓰시오.


○ 해체작업 중지 : 
○ 운전작업 중지 :



5. 영상에 보이는 토공기계의 무너짐 방지 방법을 3가지 쓰시오.  



​○ 
○ 
○ 




​6. 지하에서 작업할 때 가스농도 측정하게 해야하는 경우 3가지? 


​○ 
○ 
○ 




​7. 강관비계와 건물이 연결된? 철물 이름, 설치기준을 쓰시오.



○ 철물의 이름 : 
○ 비계의 벽 이음재의 역할
   1.
   2. 
   3.

 



8. 사업주가 동영상의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준수하도록 할 사항 3가지를 쓰시오.
 (단, 보호구 관련은 제외)


​○ 

○ 
○ 
○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기사 2회_2부  (0) 2025.03.09
2024년 기사 2회_1부  (0) 2025.03.09
2024년 기사 1회_2부  (0) 2025.03.06
2024년 기사 1회_1부  (0) 2025.03.06
2023년 기사 4회_3부  (0) 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