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20년 기사 1회_1부

다솔변샘_안전 2025. 3. 31. 22:40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9문제이며, 배점은 총 45점 만점,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속 일러스트 이미지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www.kosha.or.kr)


문제/정답

1. 프레스 금형 조정 시 급작스러운 행동방지하기 위한 내용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가) 가해물 : 프레스 금형
○ (나) 안전장치 : 안전블럭

 

2. 화면에서 보여주는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 시작 전, 사업주가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점검하도록 해야 할 사항3가지를 쓰시오. (단,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및 작업감시자 배치는 제외)


○ 권과방지장치의 기능
○ 브레이크ㆍ클러치 및 조정장치의 기능
○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3. 이동식 비계 설치 시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동영상 설명 :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 1명이 이동식 비계 옆으로 올라간다. 이동식 비계 바퀴가 고정되지
않아서 흔들린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서 각목으로 천정을 미는 작업을 하면서 이동식 비계가 흔들리고
결국 추락한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 난간은 없으며, 안전대는 착용하지 않았다.』


○ 승강용 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 것
○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 작업 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 발판 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지 않도록 할 것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비계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적합한 작업발판의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 발판재료는 작업할 때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것으로 할 것
○ 작업발판의 지지물은 하중에 의하여 파괴될 우려가 없는 것을 사용할 것
○ 작업발판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둘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킬 것

 

5. 지게차를 이용한 작업을 하는 때 작업시작 전, 사업주가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점검하도록 해야 할 사항 3가지를 쓰시오.


○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바퀴의 이상 유무
○ 전조등ㆍ후미등ㆍ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6. 작업자가 차단기 스위치를 올리고 드라이버로 점검하다가 감전된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해당 전로의 정격에 적합하고 감도가 양호하며 확실하게 작동하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 전기 기계·기구 3가지를 쓰시오.


○ 대지전압이 150볼트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 철판ㆍ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ㆍ기구
○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ㆍ기구

 

7. 동영상의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전주를 타고 올라간 작업자는 U자걸이형 안전대를 착용했지만 연결은 하지 않아서 아래로 덜렁 거린다. 안전모는 착용한 작업자가 전봇대에 박혀있는 전주용 스텝볼트(발판볼트)를 밟고, 내전압용 절연장갑이 아닌 면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스패너로 볼트를 치면서 풀고 조이는 작업 후 위로 올라가다가 떨어짐.
작업자 신발끈이 풀려 있다.』


○ 적절한 작업발판 없음
○ 안전대 미체결
○ 내전압용 절연장갑 미착용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영상과 같은 재해에 대비하여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비상시에 근로자를 피난시키거나 구출하기 위하여 갖추어 두어야 할 기구 3가지를 쓰시오.


○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
○ 사다리
○ 섬유로프

 

9. 사업주가 리프트(자동차정비용 리프트는 제외)의 운반구 이탈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장치를 A~F까지 순서에 상관없이 3가지를 쓰시오. (5점)


A. 권과방지 장치
B. 완충 스프링
C. 비상정지장치
D. 출입문 연동장치
E. 방호울 출입문 연동장치
F. 3상 전원 차단장치

 


문제

1. 프레스 금형 조정 시 급작스러운 행동방지하기 위한 내용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가) 가해물 : 
○ (나) 안전장치 : 

 

2. 화면에서 보여주는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 시작 전, 사업주가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점검하도록 해야 할 사항3가지를 쓰시오. (단,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및 작업감시자 배치는 제외)


○ 
○ 

 

 

3. 이동식 비계 설치 시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동영상 설명 :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 1명이 이동식 비계 옆으로 올라간다. 이동식 비계 바퀴가 고정되지
않아서 흔들린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서 각목으로 천정을 미는 작업을 하면서 이동식 비계가 흔들리고
결국 추락한다. 이동식 비계 제일 위에 난간은 없으며, 안전대는 착용하지 않았다.』


○ 
○ 
○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비계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적합한 작업발판의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 

 

5. 지게차를 이용한 작업을 하는 때 작업시작 전, 사업주가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점검하도록 해야 할 사항 3가지를 쓰시오.


○ 
○ 
○ 
○ 

 

 

6. 작업자가 차단기 스위치를 올리고 드라이버로 점검하다가 감전된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해당 전로의 정격에 적합하고 감도가 양호하며 확실하게 작동하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 전기 기계·기구 3가지를 쓰시오.


○ 
○ 
○ 

 

7. 동영상의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전주를 타고 올라간 작업자는 U자걸이형 안전대를 착용했지만 연결은 하지 않아서 아래로 덜렁 거린다. 안전모는 착용한 작업자가 전봇대에 박혀있는 전주용 스텝볼트(발판볼트)를 밟고, 내전압용 절연장갑이 아닌 면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스패너로 볼트를 치면서 풀고 조이는 작업 후 위로 올라가다가 떨어짐.
작업자 신발끈이 풀려 있다.』


○ 
○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영상과 같은 재해에 대비하여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비상시에 근로자를 피난시키거나 구출하기 위하여 갖추어 두어야 할 기구 3가지를 쓰시오.


○ 
○ 
○ 

 

9. 사업주가 리프트(자동차정비용 리프트는 제외)의 운반구 이탈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장치를 A~F까지 순서에 상관없이 3가지를 쓰시오. (5점)


A. 
B. 
C. 
D. 
E. 
F.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기사2회_3부  (0) 2025.04.04
2020년 기사 2회_2부  (0) 2025.04.03
2020년 기사 2회_1부  (0) 2025.04.02
2020년 기사 1회_3부  (0) 2025.04.02
2020년 기사 1회_2부  (0)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