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2차 주관식 필답형은 총 14문제이며, 배점은 총 6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가 있고, 수험자의 기억에 의해서 복원한 내용이라 실제 시험문제와 배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2018년 기사 4회 : 문제/정답
1. 하역작업을 할 때 사업주가 화물운반용 또는 고정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섬유로프의 조건 2가지를
쓰시오. (4점)
○ 꼬임이 끊어진 것
○ 심하게 변형되었거나 부식된 것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가 작업이나 통행 등으로 인하여 전기기계, 기구, 또는 전로 등의 충전 부분에 접촉하거나 접근함으로써 감전 위험이 있는 충전 부분에 대하여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해야 하는 방호 조치를 쓰시오. (5점)
○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형 외함이 있는 구조로 할 것
○ 충전부에 충분한 절연 효과가 있는 방호 망이나 절연 덮개를 설치할 것
○ 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완전히 덮어 감쌀 것
○ 발전소, 변전소 및 개폐소 등 구획된 장소로서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 금지되는 장소에 충전부를 설치하고,
위험표시 등의 방법으로 방호를 강화할 것
○ 전주 위 및 철탑 위 등 격리된 장소로서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접근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 충전부를 설치할 것
3. 철골 공사 표준안전작업 지침상, 구조 안전의 위험이 큰 철골 구조물 건립 중 강풍에 의한 풍압 등 외압에 대한 내력이 설계에 고려되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할 구조물 5가지를 쓰시오. (5점)
○ 높이 20m 이상의 구조물
○ 구조물의 폭과 높이의 비가 1:4 이상인 구조물
○ 단면 구조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 구조물
○ 연면적당 철 골량이 50kg/m2 이하인 구조물
○ 기둥이 타이 플레이트형인 구조물
4.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6점)
추락 방지용 방망의 테두리 로프 및 달기 로프의 인장 속도가 매분 20cm이상 30cm 이하의 등속 인장 시험을 행하면 인장강도 ( 1500 ) kg 이상이어야 한다.
방망사의 신품에 대한 인장강도는 그물코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다.
그물코의 크기
5.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지게차가 갖추어야 하는 방호장치 사항 3가지를 쓰시오. (3점)
○ 전조등 및 후미등
○ 헤드 가드
○ 백 레스트
6.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할 수급인인 사업주는 도급인인 사업주가 안전관
리자를 선임하지 아니할 수 있는 요건을 2가지 쓰시오. (4점)
○ 도급인인 사업주 자신이 선임해야 할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둔경우
○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할 수급인인 사업주의 사업의 종류별로 상시근로자 수를 합계하여 그 상시근로자 수에 해당하는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를 추가로 선임한 경우
7. 차량계 하역 운반기계 등을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 그 기계가 넘어지거나 굴러떨어짐으로써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사업주의 조치사항 3가지를 쓰시오. (6점)
○ 유도자 배치
○ 지반의 부동침하 방지
○ 갓길의 붕괴 방지
8. 도수율 강도율 연천인율을 구하시오. (6점)
· 연 근무 일수 : 270 / 근무 인원 : 500명 / 하루 근무시간 : 9시간
· 근로손실일 수 : 600일 / 재해자 : 15명 / 재해 건수 : 12건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실시해야 하는 안전보건교육 중, 1ton 이상의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 또는 1ton 미만의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를 5대 이상 보유한 사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작업 시 안전 보건교육 내용 3가지를 쓰시오. (6점)
○ 방호장치의 종류, 기능 및 취급에 관한 사항
○ 화물의 취급 및 작업방법에 관한 사항
○ 신호방법 및 공동작업에 관한 사항
○ 갈고리, 와이어로프 및 비상정지장치 등의 기계, 기구 점검에 관한 사항
10. 사고 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 중“시 정책의 적용”단계에서 3E는?(3점)
○ 기술 ( Engineering )
○ 교육 ( Education )
○ 규제 ( Enforcement )
11. TBM에 관한 내용으로 보기를 참조하여 ( ) 물음에 답하시오. (4점)
① 소요시간은 ( 10 ) 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② 인원은 ( 10 ) 명 이하로 구성한다.
③ 과정은 아래와 같고 [보기]에서 골라 답을 쓰시오
제1단계 도입
제2단계 ( 점검 정비 )
제3단계 작업 지시
제4단계 ( 위험 예측 )
제5단계 확인
[보기]
㉠ 작업점검
㉡ 위험예측
㉢ 행동개시
㉣ 점검정비
12. 토지붕괴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 사항을 3가지만 쓰시오. (3점)
○ 적절한 경사면의 기울기 계획
○ 활동할 가능성이 있는 토석은 제거
○ 말뚝을 타입하여 지반을 강화
13. 지하작업 가스공사 중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자를 지정해야 한다. 이
때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시점 3가지를 쓰시오. (6점)
○ 매일 작업을 시작하기 전
○ 가스 누출이 의심되는 경우
○ 장기간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4시간마다 가스농도 측정)
○ 가스가 발생하거나 정체할 위험이 있는 장소가 있는 경우
14. 보일링 (boiling) 현상의 뜻을 간략히 설명하시오. (2점)
○ "사질 (모래)" 지반을 굴착할 때, 흙막이 벽 배면(뒤쪽)과 굴착 바닥 면
(굴착 저면)의 "수위 차이"로 인해, (삼투압이 생겨) 굴착 바닥 면의 흙과
물이 함께 위로 "솟구쳐" 오르는 (액상화) 현상
2018년 기사 4회 : 문제
1. 하역작업을 할 때 사업주가 화물운반용 또는 고정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섬유로프의 조건 2가지를
쓰시오. (4점)
○
○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가 작업이나 통행 등으로 인하여 전기기계, 기구, 또는 전로 등의 충전 부분에 접촉하거나 접근함으로써 감전 위험이 있는 충전 부분에 대하여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해야 하는 방호 조치를 쓰시오. (5점)
○
○
○
○
○
3. 철골 공사 표준안전작업 지침상, 구조 안전의 위험이 큰 철골 구조물 건립 중 강풍에 의한 풍압 등 외압에 대한 내력이 설계에 고려되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할 구조물 5가지를 쓰시오. (5점)
○
○
○
○
○
4.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6점)
추락 방지용 방망의 테두리 로프 및 달기 로프의 인장 속도가 매분 20cm이상 30cm 이하의 등속 인장 시험을 행하면 인장강도 ( 1500 ) kg 이상이어야 한다.
방망사의 신품에 대한 인장강도는 그물코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다.
그물코의 크기
5.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지게차가 갖추어야 하는 방호장치 사항 3가지를 쓰시오. (3점)
○
○
○
6.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할 수급인인 사업주는 도급인인 사업주가 안전관
리자를 선임하지 아니할 수 있는 요건을 2가지 쓰시오. (4점)
○
○
7. 차량계 하역 운반기계 등을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 그 기계가 넘어지거나 굴러떨어짐으로써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사업주의 조치사항 3가지를 쓰시오. (6점)
○
○
○
8. 도수율 강도율 연천인율을 구하시오. (6점)
· 연 근무 일수 : 270 / 근무 인원 : 500명 / 하루 근무시간 : 9시간
· 근로손실일 수 : 600일 / 재해자 : 15명 / 재해 건수 : 12건
○ 도수율
○ 강도율
○ 연천인율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실시해야 하는 안전보건교육 중, 1ton 이상의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 또는 1ton 미만의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를 5대 이상 보유한 사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작업 시 안전 보건교육 내용 3가지를 쓰시오. (6점)
○
○
○
10. 사고 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 중“시 정책의 적용”단계에서 3E는?(3점)
○
○
○
11. TBM에 관한 내용으로 보기를 참조하여 ( ) 물음에 답하시오. (4점)
① 소요시간은 ( 10 ) 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② 인원은 ( 10 ) 명 이하로 구성한다.
③ 과정은 아래와 같고 [보기]에서 골라 답을 쓰시오
제1단계 도입
제2단계 ( 점검 정비 )
제3단계 작업 지시
제4단계 ( 위험 예측 )
제5단계 확인
[보기]
㉠ 작업점검
㉡ 위험예측
㉢ 행동개시
㉣ 점검정비
12. 토지붕괴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 사항을 3가지만 쓰시오. (3점)
○
○
○
13. 지하작업 가스공사 중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자를 지정해야 한다. 이
때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시점 3가지를 쓰시오. (6점)
○
○
○
○
14. 보일링 (boiling) 현상의 뜻을 간략히 설명하시오. (2점)
○ "사질 ( 모래 )" 지반을 굴착할 때, 흙막이 벽 배면( 뒤쪽 )과 굴착 바닥 면
( 굴착 저면 )의 "수위 차이"로 인해, (삼투압이 생겨) 굴착 바닥 면의 흙과
물이 함께 위로 "솟구쳐" 오르는 ( 액상화 ) 현상
'건설안전기사 주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기사 2회 (0) | 2025.03.15 |
---|---|
2019년 기사 1회 (0) | 2025.03.14 |
2018년 기사 2회 : 문제/정답 (0) | 2024.06.08 |
2018년 기사 1회 : 문제/정답 (0) | 2024.06.08 |
2017년 기사 4회 : 문제/정답 (0) | 2024.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