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주관식

2019년 기사 2회

다솔변샘_안전 2025. 3. 15. 23:04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2차 주관식 필답형은 총 14문제이며, 배점은 총 6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가 있고, 수험자의 기억에 의해서 복원한 내용이라 실제 시험문제와 배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2019년 기사 2회 : 문제/정답

   
1.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안전보건표지의 내용을 쓰시오. (3점)
    

○ 사용금지   

○ 산화성 물질

○ 고압 전기경고


                

2. 이동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하는 때에 작업 시작 전 점검 사항 3가지만 쓰시오. (3점)
○ 권과 방지장치 그 밖의 경보장치 기능
○ 브레이크 클러치 및 조정장치의 기능
○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사업주가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할 때에는 작업계획을 작성하고 그 작업계획에 따라 작업을 시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작업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을 3가지 쓰시오. (6점)
○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와 성능
○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행경로
○ 차량계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방법




4. 안전모의 종류 AB 종, AE 종, ABE 종의 사용 구분에 따른 용도를 쓰시오.     (6점)
○ AB 종 : 물체의 낙하 비래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 경감
○ AE 종 : 물체의 낙하 배래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하고 머리 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
○ ABE 종 : 물체의 낙하 비래 추락에 의한 위험 및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

 

 

 

5. 사업주가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이 안전진단 등 안전성 평가를 하여 근로자에게 미칠 위험성을 미리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를 3가지 쓰시오. (6점)
○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의 인근에서 굴착 말뚝박기 작업 등으로 침하 균열 등이 발생하여 붕괴의 위험이 예상될 경우
○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에 지진, 동해, 부동침하 등으로 균열 비틀림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 화재 등으로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의 내력이 심하게 저하되었을 경우
○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아니하던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을 재사용하게 되어 안전성을 검토하여야 하는 경우

 


6. 굴착 공사 표준안전작업 지침상, 토사 붕괴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사항을 3가지만 쓰시오. (4점)
○ 적절한 경사면의 기울기 계획
○ 활동할 가능성이 있는 토석 제거
○ 말뚝을 타입하여 지반을 강화

 

 

 

7. 고용노동부 장관이 명예산업 안전감독관을 해촉할 수 있는 경우 2가지 쓰시오. (4점)
○ 명예 감독의 업무와 관련하여 부정한 행위를 한 경우
○ 질병이나 부상 등의 사유로 명예 감독관의 업무 수행이 곤란하게 된 경우
○ 근로자대표가 사업주의 의견을 들어 위촉된 명예 감독관의 해촉을 요구한 경우
○ 위촉된 명예 감독관이 해당 단체 또는 그 산하조직으로부터 퇴직하거나 해임된 경우



8. 사업주는 중대 재해가 발생한 때에는 지체 없이 그 내용을 관할지방 고용노동 관서의 장에게 전화 팩스 또는 그 밖에 적절한 방법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중대 재해 발생 시에 보고하여야 하는 내용 2가지를 쓰시오. (4점)
○ 발생개요 및 피해 상황
○ 조치 및 전망

 

 

 

9. 토공사의 비탈면 보호 방법의 종류를 4가지만 쓰시오. (4점)
○ 식물심기
○ 낙석방지망
○ 숏크리트
○ 격자틀


10. 다음 보기는 작업발판의 설치기준이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알맞은 수치를 쓰시오. (5점)
○ 비계의 높이가2m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발판의 폭은 ( 40 )cm이상으로 하고 발판재료

   간의 틈은( 3 )cm이하로 할 것
○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산박블록 또는 엔진실 등의 좁은 작업공간에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작업발판의 폭을( 30 ) cm 이상으로 할 수 있고, 걸친 비계 경우 강관 기둥 때문에 발판 

  재료 간의 틈을 3cm 이하로 유지하기 곤란하면( 5 )cm이하로 할수 있다.
○ 작업발판 재료는 뒤짚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2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킬 것

 

 


11. 건설공사에서 작성하는 유해위험방지계획에 첨부되는 안전보건관리계획의 첨부 서류를 4가지 쓰시오. (4점)   (단 공사개요서는 제외)

○ 건설물, 사용 기계설비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 전체 공정표
○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사용계획
○ 안전관리 조직표
○ 재해 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방법

 



12.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점)
○ 와이어로프 등의 절단 하중 값을 그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하중의 최댓값으로 나눈 값



13. 건설업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계쌍 및 사용기준상,안전보건관리비 사용가능한 것의 번호를 모드 쓰시오. (4점)
1. 출입금지 표지,가설 울타리
2. 감리인이나 외부에서 방문하는 인사에게 지급하는 보호구
3. 계단, 통로, 비계에 추가로 설치하는 안전난간
4. 절토부 및 성토부 등의 토사유실방지를 위한 설비
5. 작업장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기원
정답 : 3,  5


14. 양중기 종류를2가지 쓰시오. (4점)
○ 크레인
○ 이동식 크레인
○ 리프트
○ 곤돌라
○ 승강기

 

 

 


2019년 기사 1회 : 문제

   
1.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안전보건표지의 내용을 쓰시오. (3점)
    

○   

○ 

○ 


                

2. 이동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하는 때에 작업 시작 전 점검 사항 3가지만 쓰시오. (3점)

○ 
○ 
○ 

 


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사업주가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할 때에는 작업계획을 작성하고 그 작업계획에 따라 작업을 시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작업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을 3가지 쓰시오. (6점)

○ 
○ 
○ 



4. 안전모의 종류 AB 종, AE 종, ABE 종의 사용 구분에 따른 용도를 쓰시오.     (6점)
○ AB 종 : 
○ AE 종 : 
○ ABE 종 : 

 

 

 

5. 사업주가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이 안전진단 등 안전성 평가를 하여 근로자에게 미칠 위험성을 미리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를 3가지 쓰시오. (6점)

○ 
○ 
○ 

 


6. 굴착 공사 표준안전작업 지침상, 토사 붕괴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사항을 3가지만 쓰시오. (4점)

○ 
○ 
○ 

 

 

 

7. 고용노동부 장관이 명예산업 안전감독관을 해촉할 수 있는 경우 2가지 쓰시오. (4점)

○ 

○ 


8. 사업주는 중대 재해가 발생한 때에는 지체 없이 그 내용을 관할지방 고용노동 관서의 장에게 전화 팩스 또는 그 밖에 적절한 방법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중대 재해 발생 시에 보고하여야 하는 내용 2가지를 쓰시오. (4점)

○ 

○ 
○ 
○ 

 

 

 

9. 토공사의 비탈면 보호 방법의 종류를 4가지만 쓰시오. (4점)

○ 

○ 
○ 
○ 



10. 다음 보기는 작업발판의 설치기준이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알맞은 수치를 쓰시오. (5점)
○ 비계의 높이가2m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발판의 폭은 (      )cm이상으로 하고 발판재료

   간의 틈은(      )cm이하로 할 것
○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산박블록 또는 엔진실 등의 좁은 작업공간에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작업발판의 폭을(      ) cm 이상으로 할 수 있고, 걸친 비계 경우 강관 기둥 때문에 발판 

  재료 간의 틈을 3cm 이하로 유지하기 곤란하면(      )cm이하로 할수 있다.
○ 작업발판 재료는 뒤짚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킬 것

 

 


11. 건설공사에서 작성하는 유해위험방지계획에 첨부되는 안전보건관리계획의 첨부 서류를 4가지 쓰시오. (4점)   (단 공사개요서는 제외)

○ 

○ 
○ 
○ 

 



12.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점)
○ 



13. 건설업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계쌍 및 사용기준상,안전보건관리비 사용가능한 것의 번호를 모드 쓰시오. (4점)
1. 출입금지 표지,가설 울타리
2. 감리인이나 외부에서 방문하는 인사에게 지급하는 보호구
3. 계단, 통로, 비계에 추가로 설치하는 안전난간
4. 절토부 및 성토부 등의 토사유실방지를 위한 설비
5. 작업장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기원
정답 : 


14. 양중기 종류를2가지 쓰시오. (4점)
○ 
○ 
○ 
○ 
○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주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기사 1회  (0) 2025.03.18
2019년 기사 4회  (0) 2025.03.18
2019년 기사 1회  (0) 2025.03.14
2018년 기사 4회 : 문제/정답  (0) 2024.06.08
2018년 기사 2회 : 문제/정답  (0) 2024.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