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주관식

2022년 기사 2회

다솔변샘_안전 2025. 3. 21. 00:57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2차 주관식 필답형은 총 14문제이며, 배점은 총 6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가 있고, 수험자의 기억에 의해서 복원한 내용이라 실제 시험문제와 배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2022년 기사 2회 : 문제/정답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공사금액 1000억 원의 건설업에서 선임해야 하는 최소 안전관리자 수 및 1명 이상 포함되어야 하는 안전관리자 자격 2가지를 쓰시오. (6점)
(단, 전체 공사 기간을 100으로 할 때 공사 시작에서 15에서 해당하는 기간에서 85에 해당하는 기간까지)

① 안전관리자 수 : ( ) 명
② 1명 이상 포함되어야 하는 안전관리자 필수자격
  ○ 산업안전지도사
  ○ 산업안전산업기사 이상
  ○ 건설안전산업기사 이상



3. 계단 설치 기준이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다음 ( )을 채우시오. (4점)
가) 사업주는 계단 및 계단참을 설치하는 경우 매 제곱미터당 ( ① ) 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구조로 설치하여야 하며, 안전율은 ( ② )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① 500 
② 4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의 추락 등에 의한 위험방지를 위하여 안전난간 설치 기준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을 넣으시오. (3점)

①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 기둥으로 구성할 것. 다만,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 판 및 난간 기둥은 이와 비슷한 구조와 성능을 가진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② 상부 난간대는 바닥 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이하 “바닥 면 등”이라 한다)으로부터 ( 90cm ) 이상 지점에 설치하고, 상부 난간대를 120cm 이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는 상부 난간대와 바닥 면 등의 중간에 설치하여야 하며, 120㎝ 이상 지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를 2단 이상으로 균등하게 설치하고 난간의 상하 간격은 60cm )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설치된 난간 기둥 간의 간격이 25cm 이하인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③ 발끝막이판은 바닥 면 등으로부터 ( 10cm )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다만,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없거나 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망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예방 조치를 한 장소는 제외한다.




4. 건설현장의 지난 한 해 동안 근무상황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도수율, 강도율, 종합재해지수 (FSI) 를 구하시오. (5점)

- 연평균근로자 수 : 200명
- 1일 작업시간 : 8시간
- 연간작업 일수 : 300일
- 출근율 : 90%
- 연간 재해 건수 : 9건
- 휴업 일수 : 125일
- 시간 외 작업시간 합계 : 20, 000시간
- 지각 및 조퇴시간 합계 : 2, 000시간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발파작업을 할 때에 유해ㆍ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감독자의 업무 내용을 4가지 쓰시오. (4점)

○ 점화 전에 점화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아닌 사람에게 대피를 지시하는 일
○ 점화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대피 장소 및 경로를 지시하는 일
○ 점화 전에 위험구역 내에서 근로자가 대피한 것을 확인하는 일
○ 점화순서 및 방법에 대하여 지시하는 일
○ 점화 신호를 하는 일
○ 점화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대피 신호를 하는 일
○ 점화하는 사람을 정하는 일
○ 공기압축기의 안전밸브 작동 여부를 점검하는 일
○ 안전모 등 보호구 착용 상황을 감시하는 일



6. 구조물 해체공사 시 기계 기구의 유압력에 의한 해체공법을 2가지만 쓰시오. (4점)

○ 압쇄 공법 
○ 브레이커 공법 
○ 재키 공법 
○ 햄머 공법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실시해야 하는 안전 보건교육 중, 다음 근로자의 교육 시간 관련해서 ( ) 안에 알맞은 숫자를 넣으시오. (4점)

○ 정기교육 : 사무직 종사 근로자 : 매 반기 ( 6 ) 시간 이상
○ 정기교육 :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 : 연간 ( 16 ) 시간 이상
○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 '일용근로자 및 근로 계약 기간이 1주일 이하인 기간제 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 : ( 2 ) 시간 이상
○ 건설업 기초안전ㆍ보건교육 : 건설 일용근로자 : ( 4 ) 시간 이상

 



8. 지반의 동상 방지대책 2가지를 쓰시오. (4점)

○ 단열 재료의 삽입
○ 지표의 흙을 (동결되지 않는) 재료로 치환
○ 지표의 흙을 (동결이 잘되지 않는) 화학약품으로 처리
○ (배수구 등을 설치하여) 지하수위 저하
○ 동결심도 아래에 배수층 설치
○ 모세관수 (=모관수) 상승을 방지하는 층을 둔다.
○ 동결 온도의 유지 기간을 짧게



9. 굴착 공사 시 히빙 (heaving) 현상의 발생 원인을 3가지만 쓰시오. (3점)

○ 흙막이 내외부 중량 차이
○ 굴착 배면의 하중
○ 흙막이 벽 군입 깊이 부족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개선계획에 대한 (        ) 를 채우시오. (6점)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ㆍ시행 명령을 받은 사업주는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보건개선계획서를 작성하여 그 명령을 받은 날부터 ( 60 ) 일 이내에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안전보건개선계획서에는 시설, ( 안전·보건관리체제 ) , ( 안전·보건교육 ), 산업재해 예방 및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비가 올 경우를 대비하여 빗물 등의 침투에 의한 붕괴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주의 조치 사항을 2가지 쓰시오. (4점)

○ 측구를 설치
○ 굴착 경사면에 비닐을 덮기



12. 하인리히가 제시한 재해 예방의 4원칙을 쓰시오. (4점)


○ 예방 가능
○ 손실 우연
○ 원인 연계
○ 대책 선정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사람을 지명하고 그로 하여금 해당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해야 하는 경우를 3가지를 쓰시오. (6점)

○ 매일 작업을 시작하기 전
○ 가스의 누출이 의심되는 경우
○ 가스가 발생하거나 정체할 위험이 있는 장소가 있는 경우
○ 장시간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



14. 연약한 지반에 하중을 가하여 흙을 압밀 시키는 방법의 한가지로 구조물 축조장소에 사전 성토하여 침하시켜 흙의 전단 강도를 증가시킨 후 성토 부분을 제거하는 공법명칭을 쓰시오. (3점)

○ 프리 로딩 (pre loading )


2022년 기사 2회 : 문제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공사금액 1000억 원의 건설업에서 선임해야 하는 최소 안전관리자 수 및 1명 이상 포함되어야 하는 안전관리자 자격 2가지를 쓰시오. (6점)
(단, 전체 공사 기간을 100으로 할 때 공사 시작에서 15에서 해당하는 기간에서 85에 해당하는 기간까지)

① 안전관리자 수 : (       ) 명
② 1명 이상 포함되어야 하는 안전관리자 필수자격
     
○ 
     ○ 
     ○ 



3. 계단 설치 기준이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다음 ( )을 채우시오. (4점)
가) 사업주는 계단 및 계단참을 설치하는 경우 매 제곱미터당 ( ① ) 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구조로 설치하여야 하며, 안전율은 ( ② )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① 
②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의 추락 등에 의한 위험방지를 위하여 안전난간 설치 기준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을 넣으시오. (3점)

①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 기둥으로 구성할 것. 다만,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 판 및 난간 기둥은 이와 비슷한 구조와 성능을 가진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② 상부 난간대는 바닥 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이하 “바닥 면 등”이라 한다)으로부터 ( 90cm ) 이상 지점에 설치하고, 상부 난간대를 120cm 이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는 상부 난간대와 바닥 면 등의 중간에 설치하여야 하며, 120㎝ 이상 지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를 2단 이상으로 균등하게 설치하고 난간의 상하 간격은 (          )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설치된 난간 기둥 간의 간격이 25cm 이하인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③ 발끝막이판은 바닥 면 등으로부터 (        )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다만,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없거나 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망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예방 조치를 한 장소는 제외한다.




4. 건설현장의 지난 한 해 동안 근무상황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도수율, 강도율, 종합재해지수 (FSI) 를 구하시오. (5점)

- 연평균근로자 수 : 200명
- 1일 작업시간 : 8시간
- 연간작업 일수 : 300일
- 출근율 : 90%
- 연간 재해 건수 : 9건
- 휴업 일수 : 125일
- 시간 외 작업시간 합계 : 20, 000시간
- 지각 및 조퇴시간 합계 : 2, 000시간

○ 도수율


○ 강도율 


○ 종합재해지수 FSI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발파작업을 할 때에 유해ㆍ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감독자의 업무 내용을 4가지 쓰시오. (4점)

○ 

○ 
○ 
○ 



6. 구조물 해체공사 시 기계 기구의 유압력에 의한 해체공법을 2가지만 쓰시오. (4점)

○ 
○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실시해야 하는 안전 보건교육 중, 다음 근로자의 교육 시간 관련해서 ( ) 안에 알맞은 숫자를 넣으시오. (4점)

○ 정기교육 : 사무직 종사 근로자 : 매 반기 (              ) 시간 이상
○ 정기교육 :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 : 연간 (            ) 시간 이상
○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 '일용근로자 및 근로 계약 기간이 1주일 이하인 기간제 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 : (            ) 시간 이상
○ 건설업 기초안전ㆍ보건교육 : 건설 일용근로자 : (               ) 시간 이상

 


8. 지반의 동상 방지대책 2가지를 쓰시오. (4점)

○ 
○ 



9. 굴착 공사 시 히빙 (heaving) 현상의 발생 원인을 3가지만 쓰시오. (3점)

○ 
○ 
○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개선계획에 대한 (        ) 를 채우시오. (6점)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ㆍ시행 명령을 받은 사업주는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보건개선계획서를 작성하여 그 명령을 받은 날부터 (       ) 일 이내에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안전보건개선계획서에는 시설, (                    ) , (                   ), 산업재해 예방 및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비가 올 경우를 대비하여 빗물 등의 침투에 의한 붕괴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주의 조치 사항을 2가지 쓰시오. (4점)

○ 
○ 



12. 하인리히가 제시한 재해 예방의 4원칙을 쓰시오. (4점)

 

○ 

○ 
○ 
○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사람을 지명하고 그로 하여금 해당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해야 하는 경우를 3가지를 쓰시오. (6점)

○ 
○ 
○ 
○ 



14. 연약한 지반에 하중을 가하여 흙을 압밀 시키는 방법의 한가지로 구조물 축조장소에 사전 성토하여 침하시켜 흙의 전단 강도를 증가시킨 후 성토 부분을 제거하는 공법명칭을 쓰시오. (3점)

○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주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기사 1회  (0) 2025.03.21
2022년 기사 4회  (0) 2025.03.21
2022년 기사 1회  (0) 2025.03.19
2021년 기사 4회  (0) 2025.03.19
2021년 기사 2회  (0)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