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주관식

2021년 기사 4회

다솔변샘_안전 2025. 3. 19. 21:25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2차 주관식 필답형은 총 14문제이며, 배점은 총 6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가 있고, 수험자의 기억에 의해서 복원한 내용이라 실제 시험문제와 배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2021년 기사 4회 : 문제/정답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실시해야 하는 안전·보건교육에 있어, 근로자 정기교육 내용을 4가지 쓰시오. (4점)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 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 직무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2. 보일링 방지대책 3가지를 쓰시오. (6점)

○ 지하수위 낮게
○ 지하수 흐름을 막는다.
○ 흙막이 벽을 깊게 설치
○ 굴착도 원상 매립
○ 작업중지

 

 

​3. 흙의 동상방지 대책 4가지를 쓰시오. (4점)

○ 지표의 흙을(동결이 잘되지 않는) 화학 약품으로 처리
○ 단열재료 삽입
○ 지하수 위 저하
○ 동결심도 아래에 배수층 설치
○ 동결 온도의 유지 기간을 짧게



4. 안전표지판 명칭을 쓰시오. (3점)


① 사용금지
② 산화성 물질 경고
③ 고압전기 경고



​5. 작업 발판에 대한 다음 (    )안에 알맞은 수치를 쓰시오. (5점)

○ 비계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 발판의 폭은 ( ① 
40 ) cm 이상으로 하고, 발판

  재료 간의 틈은 ( ②  ) cm 이하로 할 것
○ 작업 발판 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 ③
 2  )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킬 것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거푸집 동바리의 고정·조립 또는 해체작업/지반의 굴착작업/흙막이 지보공의 고정·조립 또는 해체작업/터널의 굴착작업/건물 등의 해체작업 시 유해·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 감독자의 직무를 3가지 쓰시오. (4점)

○ 안전한 작업방법을 결정하고 작업을 지휘하는 일
○ 재료·기구의 결함 유무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 작업 중 안전대,안전모 등의 착용 상황을 감시하는 일

 

 


7. 다음의 와이어 로프의 안전계수를 각각 쓰시오. (6점)

○ 달기 강선 안전계수 : (   10     )
○ 달기 체인, 달기 훅 안전계수 : (   5    )
○ 목재의 안전계수 : 5
○ 강재의 안전계수 : 2.5



8. 건설업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따른 안전보건관리비의 기본항목을 4가지만 쓰시오. (4점)

○ 안전관리자 등의 인건비 및 각종 업무 수당
○ 안전시설비
○ 개인 보호구 및 안전 장구 구입비
○ 사업장의 안전·보건진단비
○ 안전보건 교육비 및 행사비
○ 근로자의 건강관리비
○ 기술지도비
○ 본사 사용비

 



​9.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컨베이어 작업 시작 전에 관리 감독자가 확인할 점검 사항 3가지만 쓰시오. (6점)

○ 원동기 풀리 기능의 이상 유무
○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이탈방지 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원동기·회전축·기어 및 풀리 등의 덮개 또는 울 등의 이상 유무



10. 터널 공사 표준안전작업지침에 따른, 암질 변화 구간 및 이상 암질의 출현 시 암질판별법(암반 분류법) 4가지를 쓰시오. (4점)

○ R.Q.D (Rock Quality Designation)
○ 탄성파 속도 [m/sec]
○ R.M.R (Rock Mass Rating)
○ 진동치 속도 [cm/sec=kine]
○ 일축 압축강도

<문제 삭제- 법규 개정 2023-07-01>

 


​11. 다음의 특징을 갖는 안전관리조직을 쓰시오. (3점)

○ 안전지식과 기술축적이 용이하다.
○ 권한 다툼이나 조정 때문에 통제 절차가 복잡해지며,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 생산 부분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정답: 스태프 형(staff형)

 



12. 산업안전보건법상 리프트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 (3점)

가. 건설용 리프트 <개정>
나. 산업용 리프트 <개정>
다. 자동차정비용 리프트
라. 이삿짐운반용 리프트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132조(양중기)
<2021.11.19 개정>

 

 


13. 강관 비계와 구조체 사이 벽 이음 역할 2가지 쓰시오. (4점)

○ 벽 이음 재는 비계가 풍하중 및 수평 하중에 의해 영구 구조체의 내·외측으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부재로서, 간격은 벽 이음재의 성능과 작용 하중에 의해 결정하여야 한다.
○ 풍하중에 의한 움직임 방지
○ 수평 하중에 의한 움직임 방지



14. 터널 공사 표준안전작업지침-NATM 공법에 의거, 터널 작업 시 사전에 계측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4가지를 쓰시오. (4점)

○ 측정 위치 개소 및 측정의 기능 분류
○ 계측 시 소요 장비
○ 계측빈도
○ 계측결과 분석방법
○ 변위 허용치 기준
○ 이상 변위 시 조치 및 보강대책



2021년 기사 4회 : 문제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실시해야 하는 안전·보건교육에 있어, 근로자 정기교육 내용을 4가지 쓰시오. (4점)

○ 
○ 
○ 
○ 



2. 보일링 방지대책 3가지를 쓰시오. (6점)

○ 
○ 
○ 
○ 

 

 

​3. 흙의 동상방지 대책 4가지를 쓰시오. (4점)


○ 
○ 
○ 
○ 




4. 안전표지판 명칭을 쓰시오. (3점)

 

① 
② 




​5. 작업 발판에 대한 다음 (    )안에 알맞은 수치를 쓰시오. (5점)

○ 비계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 발판의 폭은 ( ①        ) cm 이상으로 하고, 발판

  재료 간의 틈은 ( ②        ) cm 이하로 할 것
○ 작업 발판 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 ③      )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킬 것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거푸집 동바리의 고정·조립 또는 해체작업/지반의 굴착작업/흙막이 지보공의 고정·조립 또는 해체작업/터널의 굴착작업/건물 등의 해체작업 시 유해·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 감독자의 직무를 3가지 쓰시오. (4점)

○ 
○ 

 

 


7. 다음의 와이어 로프의 안전계수를 각각 쓰시오. (6점)

○ 달기 강선 안전계수 : (           )
○ 달기 체인, 달기 훅 안전계수 : (          )
○ 목재의 안전계수 : 5
○ 강재의 안전계수 : 2.5



8. 건설업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따른 안전보건관리비의 기본항목을 4가지만 쓰시오. (4점)

○ 
○ 
○ 
○ 



​9.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컨베이어 작업 시작 전에 관리 감독자가 확인할 점검 사항 3가지만 쓰시오. (6점)

○ 
○ 
○  




10. 터널 공사 표준안전작업지침에 따른, 암질 변화 구간 및 이상 암질의 출현 시 암질판별법(암반 분류법) 4가지를 쓰시오. (4점)

○ R.Q.D (Rock Quality Designation)
○ 탄성파 속도 [m/sec]
○ R.M.R (Rock Mass Rating)
○ 진동치 속도 [cm/sec=kine]
○ 일축 압축강도

<문제 삭제- 법규 개정 2023-07-01>

 


​11. 다음의 특징을 갖는 안전관리조직을 쓰시오. (3점)

○ 안전지식과 기술축적이 용이하다.
○ 권한 다툼이나 조정 때문에 통제 절차가 복잡해지며,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 생산 부분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정답: 



12. 산업안전보건법상 리프트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 (3점)

○ 
○ 
○ 

 


13. 강관 비계와 구조체 사이 벽 이음 역할 2가지 쓰시오. (4점)

○ 



14. 터널 공사 표준안전작업지침-NATM 공법에 의거, 터널 작업 시 사전에 계측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4가지를 쓰시오. (4점)

○ 
○ 
○ 
○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주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기사 2회  (0) 2025.03.21
2022년 기사 1회  (0) 2025.03.19
2021년 기사 2회  (0) 2025.03.19
2021년 기사 1회  (0) 2025.03.18
2020년 기사 4회  (0) 2025.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