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8문제이며, 배점은 총 4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 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문제/정답
1. 흙막이 지보공 정기점검사항 2가지를 쓰시오.
○ 버팀대 긴압의 정도
○ 부재 변형 변위 부식 손상 탈락의 유무
2. 타워 크레인 와이어로프 샤클링 잘못된 체결방법 및 이유 1가지를 입력하시오.
○ 최대 허용하중 표기가 없는 샤클
: 허용하중 이상의 화물을 인양시 벌어지거나 파괴되어 사고의 위험이 있음.
○ 볼트를 샤클 핀으로 대체하지 말 것
: 부하를 받으면 볼트가 구부러진다.(전용 고정핀 사용 조치)
3. 교량 작업계획서 3가지를 쓰시오.
○ 설치방법 및 순서
○ 해당 작업 종사하는 근로자 추락 방지대책
○ 작업지휘자 배치계획
4. 리프트 작업 중 안전위험요소 3가지를 쓰시오.
『 동영상 설명 :왼쪽하단 자재 올리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미착용 상태이다. 각 층에서 리프트 탑승대기 중인 작업자가 안전난간이나 문 밖으로 머리를 내밀어 리프트 위치 확인하고 있다. 리프트보다 큰 자재를 운반하려고 하니 리프트 문이 닫히지 않는다. 탑승자가 리프트 한쪽으로 탑승한다. 안전난간 및 추락방호망이 없으며 작업자 모두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았다. 』
○ 작업자 안전모 및 안전대 미착용
○ 리프트 문을 다딪 않음
○ 작업자가 문 밖으로 머리를 내밀어 리프트 위치 확인
5.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보통작업인 경우의 조도는 얼마인가?
○ 150럭스 이상
6. 하천변 굴삭기를 이용한 석축 축조시 석축이 무너지는 요인 3가지를 쓰시오.
○ 기초지반 침하
○ 배수 불량
○ 석재 불량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하역 또는 운반 중인 화물이나 그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등에 접촉되어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사항을 2가지 쓰시오.
『굴착기가 하수관을 한줄걸이로 인양하여, 하수관이 회전』
○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장소에) 근로자를 출입 금지
○ 작업지휘자 또는 유도자를 배치하고 그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등을 유도
8. 콘크리트 타설작업 안전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 편심이 발생하지 않게 골고루 분산하여 타설.
○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동바리 붕괴 위험이 예상될때 충분한 보강조치 할 것.
○ 설계도서상 양생기간 준수하여 거푸집 동바리등 해체할 것.
※문제
1. 흙막이 지보공 정기점검사항 2가지를 쓰시오.
○
○
2. 타워 크레인 와이어로프 샤클링 잘못된 체결방법 및 이유 1가지를 입력하시오.
○ 최대 허용하중 표기가 없는 샤클
:
○ 볼트를 샤클 핀으로 대체하지 말 것
:
3. 교량 작업계획서 3가지를 쓰시오.
○
○
○
4. 리프트 작업 중 안전위험요소 3가지를 쓰시오.
『 동영상 설명 :왼쪽하단 자재 올리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미착용 상태이다. 각 층에서 리프트 탑승대기 중인 작업자가 안전난간이나 문 밖으로 머리를 내밀어 리프트 위치 확인하고 있다. 리프트보다 큰 자재를 운반하려고 하니 리프트 문이 닫히지 않는다. 탑승자가 리프트 한쪽으로 탑승한다. 안전난간 및 추락방호망이 없으며 작업자 모두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았다. 』
○
○
○
5.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보통작업인 경우의 조도는 얼마인가?
○
6. 하천변 굴삭기를 이용한 석축 축조시 석축이 무너지는 요인 3가지를 쓰시오.
○
○
○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하역 또는 운반 중인 화물이나 그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등에 접촉되어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사항을 2가지 쓰시오.
『굴착기가 하수관을 한줄걸이로 인양하여, 하수관이 회전』
○
○
8. 콘크리트 타설작업 안전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
○
○
'건설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기사 1회_1부 (0) | 2025.03.03 |
---|---|
2022년 기사 4회_3부 (0) | 2025.03.03 |
2022년 기사 4회_1부 (0) | 2025.03.03 |
2022년 기사 2회_3부 (0) | 2025.03.02 |
2022년 기사 2회_2부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