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8문제이며, 배점은 총 4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 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문제/정답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자재창고의 작업면 조도를 쓰시오.

○ 75럭스 이상
2. 타워크레인 해체 작업계획서 4가지를 쓰시오.

○ 타워크레인의 종류 및 형식
○ 설치·조립 및 해체순서
○ 작업도구·장비·가설설비 및 방호설비
○ 작업인원의 구성 및 작업근로자의 역할 범위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의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하고자 할 때 운전자가 준수
하여야 할 사항 3가지를 쓰시오.

○ 포크, 버킷, 디퍼 등의 장치를 가장 낮은 위치 또는 지면에 내려둘 것
○ 원동기를 정지시키고 브레이크를 확실히 거는 등 갑작스러운 주행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 운전석을 이탈하는 경우에는 시동키를 운전대에서 분리시킬 것. 다만, 운전석에 잠금장치를 하는 등
운전자가 아닌 사람이 운전하지 못하도록 조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이동식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사용할 수 없는 기준을 3가지만 쓰시오.

○ 이음매 있는 것.
○ 와이어로프 한 가닥(스트랜드)에서 끊어진 소선수가 10% 이상인 것.
○ 지름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 꼬인 것.
○ 심하게 변형․부식된 것.
○ 열과 전기충격에 의해 손상된 것은 사용을 금지하고 폐기할 것.
5. 추락재해 방지용 개인보호구 2가지를 쓰시오.
『 건물 외벽 낙하물 방지망 위에서 수리를 위해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고 불안하게 낙하물방지망 파이프를 밟고 이동하다 떨어졌다. 』

○ 안전대
○ 안전모
6. 공사 중인 엘리베이터 피트홀 영상을 보여준다.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로서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해야하는 시설물 3가지를 쓰시오.

○ 안전난간
○ 울타리
○ 수직형 추락방망
○ 덮개
7. 토공기계의 작업시작 전 정비점검표를 보고 확인해야하는 사항 3가지를 쓰시오.

○ 낙석, 낙하물 등의 위험이 예상되는 작업시 견고한 헤드가아드 설치상태
○ 브레이크 및 클러치의 작동상태
○ 타이어 및 궤도차륜 상태
○ 경보장치 작동상태
8. 경사진 계단에서 사용하는 동바리용 파이프 서포트에 대한 안전조치사항 2가지를 쓰시오.

○ 파이프 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 높이가 3.5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이 2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
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의 조치를 할 것
※ 문제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자재창고의 작업면 조도를 쓰시오.

○
2. 타워크레인 해체 작업계획서 4가지를 쓰시오.

○
○
○
○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의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하고자 할 때 운전자가 준수
하여야 할 사항 3가지를 쓰시오.

○
○
○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이동식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사용할 수 없는 기준을 3가지만 쓰시오.

○
○
○
5. 추락재해 방지용 개인보호구 2가지를 쓰시오.
『 건물 외벽 낙하물 방지망 위에서 수리를 위해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고 불안하게 낙하물방지망 파이프를 밟고 이동하다 떨어졌다. 』

○
○
6. 공사 중인 엘리베이터 피트홀 영상을 보여준다.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로서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해야하는 시설물 3가지를 쓰시오.

○
○
○
7. 토공기계의 작업시작 전 정비점검표를 보고 확인해야하는 사항 3가지를 쓰시오.

○
○
○
8. 경사진 계단에서 사용하는 동바리용 파이프 서포트에 대한 안전조치사항 2가지를 쓰시오.

○
○
○
'건설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기사 4회_3부 (0) | 2025.03.03 |
---|---|
2022년 기사 4회_2부 (0) | 2025.03.03 |
2022년 기사 2회_3부 (0) | 2025.03.02 |
2022년 기사 2회_2부 (0) | 2025.03.02 |
2022년 기사 2회_1부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