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21년 기사 3회_3부

다솔변샘_안전 2025. 4. 7. 21:38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9문제이며, 배점은 총 45점 만점,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속 일러스트 이미지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www.kosha.or.kr)


문제/정답

1. 작업자가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 중이다. 두꺼운 장갑 및 절연용 안전모를 착용하였으나 안전대는 착용하지 않았다. 차량 밑에서 얇은 장갑을 착용한 다른 작업자가 자재를 달줄로 매달고 올려보낸다. 작업자가 활선전로에 가까우 붙어서 작업하며, 차량도 전신주 활선전로에 매우 가까워 접촉될 듯하다. 
동영상의 활선 작업에서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작업자가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아 감전 위험이 있다. 
○ 작업자가 활선작업용 기구 및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감전 위험이 있다. 
○ 작업자가 충전전로에서 접근한계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위험하다. 

 
2. 이동식비계 상부 작업발판에 안전모 및 장갑을 착용한 작업자 1명이 안전대를 중간난간대에 체결하고 있다. 이동식비계 하부는 바퀴로 되어 있고 다른 작업자 1명이 이동식 비계를 붙잡고 있고 브레이크·쐐기 등으로 고정되었는지 확인이 어렵다. 작업장 주변에 여러 개의 전주가 설치되어 있다. 동영상의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안전대를 너무 낮은 곳에 체결하였다. 
○ 브레이크·쐐기 등으로 바퀴를 고정하지 않았다. 
○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하지 않았다.  


3. 자동차부품(브레이크 라이닝)을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있다. 세정제가 바닥에 흩어져 있으며, 고무장화 등을 착용하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있다. 운동화를 신고 일반 작업복을 입고 방진 마스크와 면장갑을 착용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영상의 작업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 2가지를 쓰시오. (단, 안전모 제외) 


○ 불침투성 보호복
○ 불침투성 보호장갑 
○ 불침투성 보호장화
○ 보안경


4. 동영상에서 사고의 문제점 2가지를 쓰시오.

『 맨손에 슬리퍼를 착용한 A작업자가 변압기의 2차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유리창 너머의 B작업자에게 개폐기함에 전원을 투입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A작업자가 측정 완료 후 B작업자에게 다시 차단하라고 신호를 보내고 측정기기를 맨손으로 철거하다 사고가 발생한다. 』


○ 작업자 간의 신호가 잘 전달되지 않았다.
○ 작업자가 내전압용 절연장갑, 절연장화 등의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았다. 
○ 작업자가 안전 확인을 소홀히 했다. 


5. 동영상에서 추락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작업자 1명이 변압기 볼트 위 매우 불안한 발판 위에 올라가서 스패너로 볼트를 치면서 풀면서 작업을 하다가 추락한다. 작업자는 면장갑을 끼고 있으며, 안전대를 허리에 착용하고있으나 어디에 걸치지 않았다. 』


○ 작업자가 딛고 선 발판이 불안하다. 
○ 안전대를 연결하지 않았다.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비계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발판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1. 발판재료는 작업할 때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것으로 할 것 
2. 작업발판의 폭은 ( 40cm ) 이상으로 하고, 발판재료 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할 것.    다만, 외줄비계의 경우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별도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다. 


​7. 박공지붕 설치 작업자들(안전모, 안전화 착용)이 박공지붕 위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던 중 작업자들 뒤에 쌓여있던 적재물들이 굴러와 작업자 등에 충돌하여 앞으로 쓰러지는 영상이다.
동영상 작업 중 안전대책 3가지를 쓰시오.


○ 위험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지 않는다. 
○ 추락방호망을 설치한다. 
○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하고, 안전대를 착용한다. 
○ 중량물이 구르는 방향인 경사면 아랠로는 작업자의 출입을 제한한다.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밀폐공간에서의 작업 시 특별교육 내용 3가지를 쓰시오.

 (단, 그 밖에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제외)

○ 산소농도 측정 및 작업환경에 관한 사항 
○ 사고 시의 응급처치 및 비상 시 구출에 관한 사항 
○ 보호구 착용 및 보호 장비 사용에 관한 사항 
○ 작업내용·안전작업방법 및 절차에 관한 사항 


9. 동영상 속 용접 작업 시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일반 운동화를 작업자가 혼자 작업장에서 용접용 보안면, 용접용 가죽장갑, 용접용 앞치마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재를 집개에 물려놓고 피복아크 용접(전기용접, 수동용접)을 하고 있다. 빨간색과 주황색 드럼통이 뒤에 보인다. 작업장 바닥이 어지러져 있다. 한 손으로 용접기, 다른 손으로 작업봉을 받친 채 용접한다. 용접하는 모재 옆에 작업대 위 어질러진 용접봉이나 잡다한 물건들에 불티가 튄다. 』 


○ 화기작업에 따른 인근 가연성물질에 대한 방호조치 및 소화기구 비치가 미흡
○ 용접불티 비산방지덮개, 용접방화포 등 불꽃, 불티 등 비산방지조치가 미흡 
○ 인화성 액체의 증기 및 인화성 가스가 남아 있지 않도록 환기 등의 조치가 미흡 


문제

1. 작업자가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 중이다. 두꺼운 장갑 및 절연용 안전모를 착용하였으나 안전대는 착용하지 않았다. 차량 밑에서 얇은 장갑을 착용한 다른 작업자가 자재를 달줄로 매달고 올려보낸다. 작업자가 활선전로에 가까우 붙어서 작업하며, 차량도 전신주 활선전로에 매우 가까워 접촉될 듯하다. 
동영상의 활선 작업에서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  


 
2. 이동식비계 상부 작업발판에 안전모 및 장갑을 착용한 작업자 1명이 안전대를 중간난간대에 체결하고 있다. 이동식비계 하부는 바퀴로 되어 있고 다른 작업자 1명이 이동식 비계를 붙잡고 있고 브레이크·쐐기 등으로 고정되었는지 확인이 어렵다. 작업장 주변에 여러 개의 전주가 설치되어 있다. 동영상의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  



3. 자동차부품(브레이크 라이닝)을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있다. 세정제가 바닥에 흩어져 있으며, 고무장화 등을 착용하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있다. 운동화를 신고 일반 작업복을 입고 방진 마스크와 면장갑을 착용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영상의 작업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 2가지를 쓰시오. (단, 안전모 제외) 

 

○ 
○  


4. 동영상에서 사고의 문제점 2가지를 쓰시오.

『 맨손에 슬리퍼를 착용한 A작업자가 변압기의 2차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유리창 너머의 B작업자에게 개폐기함에 전원을 투입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A작업자가 측정 완료 후 B작업자에게 다시 차단하라고 신호를 보내고 측정기기를 맨손으로 철거하다 사고가 발생한다. 』

 

○ 
○  
 


5. 동영상에서 추락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 작업자 1명이 변압기 볼트 위 매우 불안한 발판 위에 올라가서 스패너로 볼트를 치면서 풀면서 작업을 하다가 추락한다. 작업자는 면장갑을 끼고 있으며, 안전대를 허리에 착용하고있으나 어디에 걸치지 않았다. 』


○ 
○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비계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발판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1. 발판재료는 작업할 때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것으로 할 것 
2. 작업발판의 폭은 (         ) 이상으로 하고, 발판재료 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할 것.    다만, 외줄비계의 경우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별도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다. 


​7. 박공지붕 설치 작업자들(안전모, 안전화 착용)이 박공지붕 위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던 중 작업자들 뒤에 쌓여있던 적재물들이 굴러와 작업자 등에 충돌하여 앞으로 쓰러지는 영상이다.
동영상 작업 중 안전대책 3가지를 쓰시오.

 

○ 
○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밀폐공간에서의 작업 시 특별교육 내용 3가지를 쓰시오.

 (단, 그 밖에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제외)

○ 
○  



9. 동영상 속 용접 작업 시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 일반 운동화를 작업자가 혼자 작업장에서 용접용 보안면, 용접용 가죽장갑, 용접용 앞치마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재를 집개에 물려놓고 피복아크 용접(전기용접, 수동용접)을 하고 있다. 빨간색과 주황색 드럼통이 뒤에 보인다. 작업장 바닥이 어지러져 있다. 한 손으로 용접기, 다른 손으로 작업봉을 받친 채 용접한다. 용접하는 모재 옆에 작업대 위 어질러진 용접봉이나 잡다한 물건들에 불티가 튄다. 』 


○ 
○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기사 1회_2부  (0) 2025.04.08
2022년 기사 1회_1부  (0) 2025.04.08
2021년 기사 3회_2부  (0) 2025.04.07
2021년 기사 3회_1부  (0) 2025.04.07
2021년 기사 2회_3부  (0)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