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설안전기사 2차 주관식 필답형은 총 14문제이며, 배점은 총 6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가 있고, 수험자의 기억에 의해서 복원한 내용이라 실제 시험문제와 배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2020년 기사 3회 : 문제/정답
1. 관계 수급인 근로자가 도급인의 사업장에서 작업하는 경우, 도급인 이행 사항을 2가지 쓰시오. (4점)
○ 도급인과 수급인을 구성원으로 하는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 작업장 순회 점검
○ 관계 수급인이 근로자에게 하는 안전보건 교육을 위한 장소 및 자료의 제공 등 지원
○ 관계 수급인이 근로자에게 하는 안전보건 교육의 실시 확인
2. 건설업에서 선임해야 할 안전관리자의 인원을 쓰시오. (4점)
○ 공사금액 800억 원 이상 1500억 원 미만 : 2명
○ 공사금액 2,200억 원 이상 3000억 원 미만 : 4명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에 승강기의 설치ㆍ조립ㆍ수리ㆍ점검 또는 해체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주가 작업을 지휘하는 사람에게 이행해야 하도록 하는 사항을 3가지 쓰시오. (6점)
○ 작업방법과 근로자의 배치를 결정하고 해당 작업을 지휘하는 일
○ 재료의 결함 유무 또는 기구 및 공구의 기능을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 작업 중 안전대등 보호구의 착용 상황을 감시하는 일
4. 기둥ㆍ보ㆍ벽체ㆍ슬라브 등의 거푸집 동바리 등을 조립하거나 해체 작업 시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6점)
○ 해당 작업을 하는 구역에는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금지할 것
○ 비, 눈, 그 밖의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쁜 경우에는 그 작업을 중지할 것
○ 재료, 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에는 근로자로 하여금 달 줄ㆍ달포대 등을 사용
하도록 할 것
○ 낙하ㆍ충격에 의한 돌발적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팀목을 설치하고 거푸집 동바리 등을 인양
장비에 매단 후에 작업을 하도록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5. 종합재해지수(FSI)를 구하시오. (4점)
- 근로자 수 : 500명
- 8시간/280일
- 연간재해 발생 건수 : 10건
- 휴업 일수 : 159일
6. 달기체인을 달 비계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기준 2가지를 쓰시오. (4점)
○ 달기 체인의 길이가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길이의 5%를 초과한 것
○ 링의 단면지름이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해당 링의 지름의 10%를 초과하여 감소한 것
○ 균열이 있거나 심하게 변형된 것
7. 화약류저장소 내의 운반이나 현장 내 소규모 운반일 때, 준수할 사항을 2가지 쓰시오. (4점)
○ 화약류를 갱내 또는 떨어진 발파현장에 운반할 때에는 정해진 포장 및 상자 등을 사용하여 운반
하여야 한다.
○ 화약, 폭약 및 도폭선과 공업뇌관 또는 전기뇌관은 1인이 동시에 운반하여서는 안 된다.
1인에게 운반시킬 때에는 별개 용기에 넣어 운반하여야 한다.
○ 전기뇌관을 운반할 때에는 각선이 벗겨지지 않도록 용기에 넣고 건전지 및 타 전로의 벗겨진 전기
기구를 휴대하지 말아야 하며 전등선, 동력선 기타 누전의 우려가 있는 것에 접근시키지 말아야 한다.
○ 화약류는 운반하는 자의 체력에 적당하도록 소량을 운반케 하여야 한다.
○ 화약류를 운반할 때에는 화기나 전선의 부근을 피하고, 넘어지거나, 떨어뜨리거나, 부딪치거나 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빈 화약류 용기 및 포장재료는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처분하여야 한다.
8.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에 따라, 분야별 안전관리책임자 또는 안전관리담당자가 당일 공사작업자를 대상으로 매일 공사 착수 전에 실시해야 하는 안전 교육 내용을 3가지 쓰시오. (6점)
○ 당일 작업의 공법 이해
○ 시공상세도면에 따른 세부 시공순서
○ 시공 기술상의 주의사항
9. 거푸집 및 지보공(동바리) 시공 시 고려할 하중을 각각 2가지씩 쓰시오. (4점)
1. 연직방향 하중
① 거푸집, 지보공(동바리)
② 콘크리트
③ 철근
④ 작업원
⑤ 타설용 기계 기구
2. 수평 방향 하중
① 작업 할 때의 진동
② 충격
③ 지진
④ 풍압
⑤ 유수압
10. 흙막이 지보공의 보강 또는 동바리를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할 때, 해야 하는 교육 내용을
2가지 쓰시오. (4점)
○ 작업 안전 점검 요령과 방법에 관한 사항
○ 동바리의 운반ㆍ취급 및 설치 시 안전작업에 관한 사항
○ 해체작업 순서와 안전기준에 관한 사항
○ 보호구 취급 및 사용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안전ㆍ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11.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 표지 중 "녹십자 표지”를 그리시오. (4점)
(단, 색상표시는 글자로 나타내도록 하고, 크기에 대한 기준은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 바탕 : 흰색
○ 도형 및 테두리 : 녹색
12. 고소 작업대를 사용하는 경우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4점)
○ 작업자가 안전모ㆍ안전대등의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할 것
○ 안전한 작업을 위하여 적정수준의 조도를 유지할 것
○ 전환 스위치는 다른 물체를 이용하여 고정하지 말 것
○ 작업대는 정격하중을 초과하여 물건을 싣거나 탑승하지 말 것
13. 철륜 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붙여 접지 면적을 작게 하여 접지압을 증가시킨 롤러로서 고함수비 점성토 지반의 다짐 작업에 적합한 롤러를 쓰시오. (3점)
정답: 탬핑롤러(tamping roller)
14. 정밀안전진단의 정의에 관해 쓰시오. (3점)
○ 정밀 안전진단의 정의
: 시설물의 물리적ㆍ기능적 결함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하기 위하여 구조적
안전성과 결함의 원인 등을 조사, 측정, 평가하여 보수, 보강 등의 방법을 제시하는 행위
2020년 기사 3회 : 문제
1. 관계 수급인 근로자가 도급인의 사업장에서 작업하는 경우, 도급인 이행 사항을 2가지 쓰시오. (4점)
○
○
2. 건설업에서 선임해야 할 안전관리자의 인원을 쓰시오. (4점)
○ 공사금액 800억 원 이상 1500억 원 미만 :
○ 공사금액 2,200억 원 이상 3000억 원 미만 :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에 승강기의 설치ㆍ조립ㆍ수리ㆍ점검 또는 해체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주가 작업을 지휘하는 사람에게 이행해야 하도록 하는 사항을 3가지 쓰시오. (6점)
○
○
○
4. 기둥ㆍ보ㆍ벽체ㆍ슬라브 등의 거푸집 동바리 등을 조립하거나 해체 작업 시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6점)
○
○
○
5. 종합재해지수(FSI)를 구하시오. (4점)
- 근로자 수 : 500명
- 8시간/280일
- 연간재해 발생 건수 : 10건
- 휴업 일수 : 159일
○ 도수율
○ 강도율
○ 종합재해지수(FSI)
6. 달기체인을 달 비계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기준 2가지를 쓰시오. (4점)
○
○
7. 화약류저장소 내의 운반이나 현장 내 소규모 운반일 때, 준수할 사항을 2가지 쓰시오. (4점)
○
○
8.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에 따라, 분야별 안전관리책임자 또는 안전관리담당자가 당일 공사작업자를 대상으로 매일 공사 착수 전에 실시해야 하는 안전 교육 내용을 3가지 쓰시오. (6점)
○
○
○
9. 거푸집 및 지보공(동바리) 시공 시 고려할 하중을 각각 2가지씩 쓰시오. (4점)
1. 연직방향 하중
○
○
2. 수평 방향 하중
○
○
10. 흙막이 지보공의 보강 또는 동바리를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할 때, 해야 하는 교육 내용을
2가지 쓰시오. (4점)
○
○
11.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 표지 중 "녹십자 표지”를 그리시오. (4점)
(단, 색상표시는 글자로 나타내도록 하고, 크기에 대한 기준은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 바탕 :
○ 도형 및 테두리 :
12. 고소 작업대를 사용하는 경우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4점)
○
○
○
○
13. 철륜 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붙여 접지 면적을 작게 하여 접지압을 증가시킨 롤러로서 고함수비 점성토 지반의 다짐 작업에 적합한 롤러를 쓰시오. (3점)
정답:
14. 정밀안전진단의 정의에 관해 쓰시오. (3점)
○ 정밀 안전진단의 정의
: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주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기사 1회 (0) | 2025.03.18 |
---|---|
2020년 기사 4회 (0) | 2025.03.18 |
2020년 기사 2회 (0) | 2025.03.18 |
2020년 기사 1회 (0) | 2025.03.18 |
2019년 기사 4회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