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8문제이며, 배점은 총 4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 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정답
1. 강관틀비계 조립 시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 높이가 20m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간의 간격이
( ① 1.8m )이하로 할 것
○ 주틀간에 교차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 ② 5층 )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할 것
○ 수직방향으로 6m, 수평방향으로 ( ③ 8m) 이내마다 벽이음을 할 것
2. 다음 시스템비계 구성시 준시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 수직재와 수평재는 직교되게 설치하여야 하며, 체결 후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 수직재를 연약 지반에 설치할 경우에는 수직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지반을 다지고 두께 45mm 이상의 깔목을 소용폭 이상으로 설치하거나 , 콘크리트, 강재표면 및 단단한 아스팔트 등의 침하 방지 조치를 하여야 한다.
○ 시스템 비계 최하부에 설치하는 수직재는 받침 철물의 조절너트와 밀착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수직과 수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때, 수직재와 ( ① 받침 철물)의 겹침길이는 ( ② 받침 철물 ) 전체길이의 ( ③ 3분의 1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수직재와 수직재의 연결은 ( ④ 전용의 연결조인트 )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연결하고, 연결부위가 탈락 또는 꺾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리프트 점검 중 감전 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구 1가지 및 리프트 이탈 방지를 위한 장치 3가지를 쓰시오.
※ 리프트 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구
○ 내전압용 절연장갑
※ 리프트 이탈 방지 장치
○ 권과방지 장치
○ 과부하방지장치
○ 비상정지장치
4. 타워크레인으로 합판더미를 1줄걸이로 인양하다가 떨어뜨린다. 그 아래 작업자가 다닌다.
(1) 재해발생원인 1가지를 쓰시오.
○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지 않아, 인양 중인 하물이 작업자의 머리 위로 통과함
(2) 공칭지름 20 mm 와이어로프가 지름 18 mm 일 때 폐기여부를 판단하시오.
○ 폐기 지름 : 20 * (1- 7/100) = 18.6 mm
- 판정: 폐기
- 사유 : 지름의 감소 ( 2 mm ) 가 공칭지름의 7% (1.4 mm) 를 초과
5. 크레인 인양 작업 시 재해 원인 1가지, 작업자 준수사항 2가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재해원인
물체 인양하고 있는데 한줄 걸이로 불안정한 상태에서 아래에서 근로자가 물체운반중 물체낙하로 사고발생 사고발생원인
○ 작업자 준수사항
1. 인양할 하물을 바닥에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작업을 하지 아니할 것
2. 고정된 물체를 직접 분리 제거하는 작업을 하지 아니할 것
3. 인양할 하물이 보이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아니할 것
6. 둥근톱을 사용하고 작업 중인데 장갑을 끼고 있다. 보안경 및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있다. 작업자가 다른 곳을 보다가 사고가 발생한다. 재해요인 2가지와 누전차단기를 반드시 설치해야하는 장소 1개소를 쓰시오.
1. 재해발생원인
○ 분할날 등 반발 예방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손가락 절단위험이 있다.
○ 회전기계에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하므로 말릴 위험이 있다.
2. 누전차단기 설치장소
○ 대지전압이 150볼트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에서 사용하는 저압용 전기기계·기구
7. 화면은 전주에 사다리를 기대고 작업 중 넘어지는 재해를 보여 주고 있다. 동영상에서와 같이 이동식 사다리의 설치기준의 빈칸을 채우시오.
1. 금속 자재는 시험 요구사항에 따라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고 부식방지 처리가 되어야 한다.
2. 사다리 디딤대의 수직 간격은 ( ① 25~35cm )사이, 사다리 폭은 30cm 이상이어야 한다.
3. 사다리 디딤대는 전도방지를 위해 표면을 주름지게 하거나, 오톨도톨하게 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물질로 도장되어야 한다.
4. 사다리의 길이는 ( ② 6m )이하가 되어야 한다.
8. 항타기·항발기 작업을 보여준다. 토공기계의 도괴방지 방법 3가지를 쓰시오.
○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부(脚部)나 가대(架 臺 )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깔목 등을
사용할 것
○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할 것
○ 각부나 가대가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말뚝 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각부나 가대를 고정시킬 것
※ 문제
1. 강관틀비계 조립 시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 높이가 20m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간의 간격이
( ① )이하로 할 것
○ 주틀간에 교차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 ② )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할 것
○ 수직방향으로 6m, 수평방향으로 ( ③ ) 이내마다 벽이음을 할 것
2. 다음 시스템비계 구성시 준시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 수직재와 수평재는 직교되게 설치하여야 하며, 체결 후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 수직재를 연약 지반에 설치할 경우에는 수직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지반을 다지고 두께 45mm 이상의 깔목을 소용폭 이상으로 설치하거나 , 콘크리트, 강재표면 및 단단한 아스팔트 등의 침하 방지 조치를 하여야 한다.
○ 시스템 비계 최하부에 설치하는 수직재는 받침 철물의 조절너트와 밀착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수직과 수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때, 수직재와 ( ① )의 겹침길이는 ( ② ) 전체길이의 ( ③ )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수직재와 수직재의 연결은 ( ④ )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연결하고, 연결부위가 탈락 또는 꺾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리프트 점검 중 감전 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구 1가지 및 리프트 이탈 방지를 위한 장치 3가지를 쓰시오.
※ 리프트 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구
○
※ 리프트 이탈 방지 장치
○
○
○
4. 타워크레인으로 합판더미를 1줄걸이로 인양하다가 떨어뜨린다. 그 아래 작업자가 다닌다.
(1) 재해발생원인 1가지를 쓰시오.
○
(2) 공칭지름 20 mm 와이어로프가 지름 18 mm 일 때 폐기여부를 판단하시오.
○
5. 크레인 인양 작업 시 재해 원인 1가지, 작업자 준수사항 2가지 사진 설명을 입력하시오.
○ 재해원인 :
○ 작업자 준수사항
1.
2.
3.
6. 둥근톱을 사용하고 작업 중인데 장갑을 끼고 있다. 보안경 및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있다. 작업자가 다른 곳을 보다가 사고가 발생한다. 재해요인 2가지와 누전차단기를 반드시 설치해야하는 장소 1개소를 쓰시오.
1. 재해발생원인
○
○
2. 누전차단기 설치장소
○
○
7. 화면은 전주에 사다리를 기대고 작업 중 넘어지는 재해를 보여 주고 있다. 동영상에서와 같이 이동식 사다리의 설치기준의 빈칸을 채우시오.
1. 금속 자재는 시험 요구사항에 따라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고 부식방지 처리가 되어야 한다.
2. 사다리 디딤대의 수직 간격은 ( ① )사이, 사다리 폭은 30cm 이상이어야 한다.
3. 사다리 디딤대는 전도방지를 위해 표면을 주름지게 하거나, 오톨도톨하게 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물질로 도장되어야 한다.
4. 사다리의 길이는 ( ② )이하가 되어야 한다.
8. 항타기·항발기 작업을 보여준다. 토공기계의 도괴방지 방법 3가지를 쓰시오.
○
○
○
'건설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기사 2회_2부 (0) | 2025.03.04 |
---|---|
2023년 기사 2회_1부 (0) | 2025.03.04 |
2023년 기사 1회_2부 (0) | 2025.03.03 |
2023년 기사 1회_1부 (0) | 2025.03.03 |
2022년 기사 4회_3부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