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작업형

2021년 기사 2회_1부

다솔변샘_안전 2025. 2. 25. 22:11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8문제이며, 배점은 총 4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 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문제/정답

 

1. 낙하물방지망 관련 (       )를 채우시오.


○ 설치각도 : 수평면과의 각도는 20도 이상 ( 30 )도 이하
○ 설치간격 : 높이 ( 10 )m 이내마다 설치
○ 내민길이 : 벽면으로부터 ( 2 )m 이상

 


2. 동영상에 나온 비계 종류의 명칭을 쓰시오.


○ 말비계

 


 

3. 리프트 작업 중 안전위험요소 3가지를 쓰시오.


『 동영상 설명 :왼쪽하단 자재 올리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미착용 상태이다. 각 층에서 리프트
탑승대기 중인 작업자가 안전난간이나 문 밖으로 머리를 내밀어 리프트 위치 확인하고 있다.
리프트보다 큰 자재를 운반하려고 하니 리프트 문이 닫히지 않는다. 탑승자가 리프트 한쪽으로
탑승한다. 안전난간 및 추락방호망이 없으며 작업자 모두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았다. 』

 


○ 작업자 안전모 및 안전대 미착용
○ 리프트 문을 다딪 않음
○ 작업자가 문 밖으로 머리를 내밀어 리프트 위치 확인

 


 

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기둥·보·벽체·슬래브 등의 거푸집 동바리등을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   해당 작업을 하는 구역에는 관계 근로자가 아닌사람의 출입을 금지할 것
○   비, 눈, 그 밖의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쁜경우에는 그 작업을 중지할 것
○   재료, 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에는 근로자로 하여금 달줄·달포대 등을 사용하도록 할 것
○   낙하·충격에 의한 돌발적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팀목을 설치하고 거푸집동바리등을 인양장비에

   매단 후에 작업을 하도록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5. 불도저 노면을 깍는 작업을 보여주고 있다. 해당 건설기계의 용도 3가지를 쓰시오.


○ 운반작업
○ 적재작업
○ 지반정지(지반고르기)
○ 굴착작업


 

6. 작업자가 안전모 턱끈을 안한 상태에서 어두운 지하실에서 바닥에 어지럽게 놓인 장애물 사이에서 혼자

바닥을 쓸면서 뒷걸음치다가 개구부에 발이 살짝 빠지고 놀란다. 청소를 하는데 먼지가 날리고 작업자는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 동종의 사고에 대한 주의사항 2가지를 쓰시오.


○ 안전난간 설치
○ 울타리 설치
○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
○ 덮개 설치

 

 

7.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사업주는 시스템 비계를 조립 작업관련 (         )를 채우시오.

 

○ 경사진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피벗형 받침 철물) 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밑받침 철물의

    바닥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것
○ 가공전로에 근접하여 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공전로를 이설하거나 가공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는 등 가공전로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것.

 


 

8. 콘크리트 라이닝 목적 2가지를 쓰시오.


○ 사용 중 점검, 보수 등의 작업성 증대
○ 내구성 향상
○ 지하수 등으로부터 수밀성 확보

 


 

※문제

 

1. 낙하물방지망 관련 (       )를 채우시오.


○ 설치각도 : 수평면과의 각도는 20도 이상 (     )도 이하
○ 설치간격 : 높이 (        ) m 이내마다 설치
○ 내민길이 : 벽면으로부터 (        ) m 이상

 


2. 동영상에 나온 비계 종류의 명칭을 쓰시오.


○ 

 


 

3. 리프트 작업 중 안전위험요소 3가지를 쓰시오.


『 동영상 설명 :왼쪽하단 자재 올리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미착용 상태이다. 각 층에서 리프트
탑승대기 중인 작업자가 안전난간이나 문 밖으로 머리를 내밀어 리프트 위치 확인하고 있다.
리프트보다 큰 자재를 운반하려고 하니 리프트 문이 닫히지 않는다. 탑승자가 리프트 한쪽으로
탑승한다. 안전난간 및 추락방호망이 없으며 작업자 모두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았다. 』

 


○ 
○ 
○ 

 


 

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기둥·보·벽체·슬래브 등의 거푸집 동바리등을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    

○ 
○ 

 


5. 불도저 노면을 깍는 작업을 보여주고 있다. 해당 건설기계의 용도 3가지를 쓰시오.


○ 
○ 
○ 
○ 


 

6. 작업자가 안전모 턱끈을 안한 상태에서 어두운 지하실에서 바닥에 어지럽게 놓인 장애물 사이에서 혼자

바닥을 쓸면서 뒷걸음치다가 개구부에 발이 살짝 빠지고 놀란다. 청소를 하는데 먼지가 날리고 작업자는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 동종의 사고에 대한 주의사항 2가지를 쓰시오.


○ 
○ 
○ 
○ 


 

7.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사업주는 시스템 비계를 조립 작업관련 (         )를 채우시오.

 

○ 경사진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                    ) 또는 (                ) 등을 사용하여 밑받침 철물의

    바닥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것
○ 가공전로에 근접하여 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공전로를 이설하거나 가공전로에 (                       )를

   설치하는 등 가공전로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것.

 


 

8. 콘크리트 라이닝 목적 2가지를 쓰시오.


○ 
○ 
○ 

반응형

'건설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기사 2회_3부  (0) 2025.02.27
2021년 기사 2회_2부  (0) 2025.02.25
2021년 기사 1회_3부  (0) 2025.02.25
2021년 기사 1회_2부  (0) 2025.02.25
2021년 기사 1회_1부  (0)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