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 산업기사 작업형

건설안전 산업기사 작업형 2019년 기사2회_2부

다솔변샘_안전 2025. 5. 27. 16:36
반응형

※건설안전 산업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8문제이며, 배점은 총 40점 만점, 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 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정답

1. 백호를 이용한 도로작업으로 언덕위에서 굴착한 흙을 트럭에 퍼담고 있다. 풍화암 구배기준 및 근로자가 접근 시 위험방지대책 2가지를 쓰시오.


(1) 풍화암 구배기준 - 1 : 1.0
(2) 위험방지대책
○ 작업반경 내 근로자 출입금지 

○ 신호수 배치

 

2. 사진에서와 같은 강관비계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다음 (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써 넣으시오.


○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 400 ) 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 작업발판의 폭은 ( 40 ) cm 이상으로 하고, 발판재료 간의 틈은 ( 3 ) cm 이하로 할 것

 

3. 동영상의 추락방지 안전 조치사항 1가지를 쓰고 낙하물 방지망 관련 (       )를 채우시오.

『 건물 외벽 낙하물 방지망 위에서 수리를 위해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고 불안하게 낙하물방지망
파이프를 밟고 이동하다 떨어졌다. 』


○ 추락방지 안전 조치시항 :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착용하고 안전대 부착설비에 걸도록 한다.
○ 설치간격 : 높이 ( 10 )m 이내마다 설치
○ 내민길이 : 벽면으로부터 ( 2 )m 이상
○ 설치각도 : 수평면과의 각도는 ( 20 )도 이상 ( 30 )도 이하

 

 

4. 건설현장에 눈이 소복히 쌓여 있다. 폭설이나 작업장에 한파가 왔을 때 조치사항 3가지를 쓰시오.

○ 적설량이 많을 경우 하중에 취약한 가시설 및 가설구조물 위의 쌓인 눈 제거
○ 근로자 통로에는 눈을 제거하거나 모래,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미끄럼 방지조치 실시
○ 근로자에게 피복지급(두꺼운 옷/ 장갑 등)

 

 

5. 근로자가 작업이나 통행 등으로 인하여 전기기계, 기구 또는 전로 등의 충전부분에 접촉하거나 접근함으로써 감전 위험이 있는 충전부분에 대하여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해야하는 방호 조치를 3가지만 쓰시오.

 

『 근로자가 이동식 비계에 계단이 없이 올라가다 전기 감전되어 떨어진다. 』

○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형 외함이 있는 구조로 할 것
○ 충전부에 충분한 절연효과가 있는 방호망이나 절연덮개를 설치할 것
○ 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완전히 덮어 감쌀 것

 

 

6. 동영상의 건설 기계의 용도 2가지를 쓰시오.

 

『 건설기계 로더의 노면 정리 작업중이다. 』

○ 적재
○ 운반
○ 지반고르기

 

 

7. 흙막이 지보공 정기점검사항 2가지를 쓰시오.

○ 버팀대 긴압의 정도
○ 부재 변형 변위 부식 손상 탈락의 유무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가설통로 설치시 준수사항 관련해서 (      ) 안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


○ 견고한 구조로 할 것
○ 경사는 ( 30 ) 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2미터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경사가 ( 15 )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 m 이상인 경우에는 ( 10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 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 문제

1. 백호를 이용한 도로작업으로 언덕위에서 굴착한 흙을 트럭에 퍼담고 있다. 풍화암 구배기준 및 근로자가 접근 시 위험방지대책 2가지를 쓰시오.


(1) 풍화암 구배기준 - 
(2) 위험방지대책
○ 

○ 

 

2. 사진에서와 같은 강관비계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다음 (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써 넣으시오.


○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        ) 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 작업발판의 폭은 (        ) cm 이상으로 하고, 발판재료 간의 틈은 (      ) cm 이하로 할 것

 

3. 동영상의 추락방지 안전 조치사항 1가지를 쓰고 낙하물 방지망 관련 (       )를 채우시오.

『 건물 외벽 낙하물 방지망 위에서 수리를 위해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고 불안하게 낙하물방지망
파이프를 밟고 이동하다 떨어졌다. 』


○ 추락방지 안전 조치시항 :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착용하고 안전대 부착설비에 걸도록 한다.
○ 설치간격 : 높이 (         )m 이내마다 설치
○ 내민길이 : 벽면으로부터 (        )m 이상
○ 설치각도 : 수평면과의 각도는 (          )도 이상 (        )도 이하

 

 

4. 건설현장에 눈이 소복히 쌓여 있다. 폭설이나 작업장에 한파가 왔을 때 조치사항 3가지를 쓰시오.

○ 
○ 
○ 

 

 

5. 근로자가 작업이나 통행 등으로 인하여 전기기계, 기구 또는 전로 등의 충전부분에 접촉하거나 접근함으로써 감전 위험이 있는 충전부분에 대하여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해야하는 방호 조치를 3가지만 쓰시오.

 

『 근로자가 이동식 비계에 계단이 없이 올라가다 전기 감전되어 떨어진다. 』

○ 
○ 
○ 

 

 

6. 동영상의 건설 기계의 용도 2가지를 쓰시오.

 

『 건설기계 로더의 노면 정리 작업중이다. 』

○ 
○ 
○ 

 

7. 흙막이 지보공 정기점검사항 2가지를 쓰시오.

○ 
○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가설통로 설치시 준수사항 관련해서 (      ) 안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


○ 견고한 구조로 할 것
○ 경사는 (     ) 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2미터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경사가 (      )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 m 이상인 경우에는 (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 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