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9문제이며, 배점은 총 45점 만점,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속 일러스트 이미지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www.kosha.or.kr)
문제/정답
1. 화면은 버스 정비 작업 중 재해가 발생한 사례이다. 기계설비의 사전안전조치 사항(대책) 3가지를 쓰시오.
『시내버스를 정비하기 위하여 차량용 리프트로 차량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한
작업자가 버스 밑에 들어가 샤프트 계통을 점검하고 있다. 그런데 다른 한
사람이 주변상황을 전혀 살피지 않고 버스에 올라 엔진을 시동하였다. 그 순
간 밑에 있던 작업자의 팔이 버스의 회전하는 샤프트에 말려들어 협착사고를
일으킨다. (이때 작업장 주변에는 아무런 작업감시자가 없는 상황이다.)』

○ 정비작업 중임을 나타내는 표지판을 설치한다.
○ 작업과정을 지휘할 작업자를 배치한다.
○ 기동장치에 잠금장치를 설치한다.
○ 작업시 운전금지를 위하여 열쇠를 별도 관리한다.
2. 철골 용광로 작업을 보여준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용융고열물을 취급하는 설비를 내부에 설치한 건축물에 대하여 수증기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해야하는 조치 2가지를 쓰시오.

○ 바닥은 물이 고이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 지붕·벽·창 등은 빗물이 새어들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3. 크레인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이동하고 있다. 슬링벨트는 한줄걸이 이며 한손에는 조작스위치, 다른 한손에는 파이프를 잡고 이동하다가 바닥에 걸려서 넘어진다. 훅에 훅 해지장치가 없다. 작업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단,안전보건교육, 유도자 배치, 작업장 정리정돈은 제외)
![]() |
![]() |
○ 한줄걸이로 화물을 인양하여 위험하다.
○ 유도로프를 사용하지 않아 화물의 흔들림을 잡지 못해 위험하다.
○ 해지장치가 없어 슬링벨트의 이탈위험이 있다.
4. 동영상의 공작기계에 (가) 사용할 수 있는 방호장치 종류 4가지 및 (나) 그 중에 작업자가 기능을 무력화시킨 방호장치 1개를 쓰시오.

(가) 방호장치
○ 광전자식
○ 양수조작식
○ 가드식
○ 손쳐내기식
○ 수인식
(나) 작업자가 기능을 무력화시킨 방호장치
○ 광전자식
5. 화면상의 작업에서 재해발생형태와 위험요인 1가지를 쓰시오.
『낡고 둥근 의자에 올라서서 흔들거리며, 가정용 배전반 전기 점검 중, 차단기를 직접 손으로 만지다가가 감전되어 넘어짐. 차단기 일부는 on 일부는 off 상태.』

1. 재해발생형태 : 감전
2. 위험요인
○ 작업 전, 전원 미차단
○ 절연용 보호구 미착용
○ 불안정한 (불안전한) 작업
6. 항타기, 항발기 충전작업 시 작업기준 중 ( ) 알맞은 내용을 기입하시오.
![]() |
![]() |
○ 근로자에게 해당 충전작업에 대한 (① 절연용 보호구)착용 시킨다.
○ 충전전로의 전압에 적합한 (②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한다.
○ 충전부로부터 접근한계거리(이격거리)를 (③ 300)cm으로 한다.
7. 항타기·항발기 전도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사업주 준수사항을 기입하시오. (단, ( ) 안에 각각 하나씩 쓰시오.)

○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① 아웃트리거ㆍ받침 )등 지지구조물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ㆍ깔목 등을 사용할 것
○ 궤도 또는 차로 이동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해서는 불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 ② 레일 클램프(rail clamp) 및 (쐐기 ) 등으로 고정시킬 것
8. 동영상에서 작업자가 발판에서 넘어져 바닥에 머리를 부닺혀 부상을 입었다. 재해발생형태와 기인물을 쓰시오.

○ 재해발생형태 : 넘어짐
○ 기인물 : 작업발판
9. DMF 라고 써진 통을 열어 확대해서 보여주고 기계에 넣은 후 작동한다. MDF 통에 표시된 안전보건표시 기호중 보기에 제시된 기호에서 적절한 것 2개를 고르시오.
『 인화성물질경고, 산화성물질경고, 급성독성물질경고, 부식성물질경고
발암성·변이원성·생식독성·전신독성·호흡기 과민성 물질경고 』
![]() |
![]() |
![]() |
![]() |
정답
○ 인화성물질경고
○ 산화성물질경고
문제
1. 화면은 버스 정비 작업 중 재해가 발생한 사례이다. 기계설비의 사전안전조치 사항(대책) 3가지를 쓰시오.
『시내버스를 정비하기 위하여 차량용 리프트로 차량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한
작업자가 버스 밑에 들어가 샤프트 계통을 점검하고 있다. 그런데 다른 한
사람이 주변상황을 전혀 살피지 않고 버스에 올라 엔진을 시동하였다. 그 순
간 밑에 있던 작업자의 팔이 버스의 회전하는 샤프트에 말려들어 협착사고를
일으킨다. (이때 작업장 주변에는 아무런 작업감시자가 없는 상황이다.)』

○
○
○
○
2. 철골 용광로 작업을 보여준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용융고열물을 취급하는 설비를 내부에 설치한 건축물에 대하여 수증기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해야하는 조치 2가지를 쓰시오.

○
○
3. 크레인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이동하고 있다. 슬링벨트는 한줄걸이 이며 한손에는 조작스위치, 다른 한손에는 파이프를 잡고 이동하다가 바닥에 걸려서 넘어진다. 훅에 훅 해지장치가 없다. 작업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단,안전보건교육, 유도자 배치, 작업장 정리정돈은 제외)
![]() |
![]() |
○
○
○
4. 동영상의 공작기계에 (가) 사용할 수 있는 방호장치 종류 4가지 및 (나) 그 중에 작업자가 기능을 무력화시킨 방호장치 1개를 쓰시오.

(가) 방호장치
○
○
○
○
(나) 작업자가 기능을 무력화시킨 방호장치
○
5. 화면상의 작업에서 재해발생형태와 위험요인 1가지를 쓰시오.
『낡고 둥근 의자에 올라서서 흔들거리며, 가정용 배전반 전기 점검 중, 차단기를 직접 손으로 만지다가가 감전되어 넘어짐. 차단기 일부는 on 일부는 off 상태.』

1. 재해발생형태 :
2. 위험요인
○
○
○
6. 항타기, 항발기 충전작업 시 작업기준 중 ( ) 알맞은 내용을 기입하시오.
![]() |
![]() |
○ 근로자에게 해당 충전작업에 대한 (① )착용 시킨다.
○ 충전전로의 전압에 적합한 (② )를 설치한다.
○ 충전부로부터 접근한계거리(이격거리)를 (③ )cm으로 한다.
7. 항타기·항발기 전도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사업주 준수사항을 기입하시오. (단, ( ) 안에 각각 하나씩 쓰시오.)

○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① )등 지지구조물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ㆍ깔목 등을 사용할 것
○ 궤도 또는 차로 이동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해서는 불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 ② ) 및 ( ) 등으로 고정시킬 것
8. 동영상에서 작업자가 발판에서 넘어져 바닥에 머리를 부닺혀 부상을 입었다. 재해발생형태와 기인물을 쓰시오.

○ 재해발생형태 :
○ 기인물 :
9. DMF 라고 써진 통을 열어 확대해서 보여주고 기계에 넣은 후 작동한다. MDF 통에 표시된 안전보건표시 기호중 보기에 제시된 기호에서 적절한 것 2개를 고르시오.
『 인화성물질경고, 산화성물질경고, 급성독성물질경고, 부식성물질경고
발암성·변이원성·생식독성·전신독성·호흡기 과민성 물질경고 』
![]() |
![]() |
![]() |
![]() |
정답
○
○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기사 3회_2부 (0) | 2025.04.13 |
---|---|
2024년 기사 3회_1부 (0) | 2025.04.13 |
2024년 기사 2회_3부 (0) | 2025.04.12 |
2024년 기사 2회_2부 (0) | 2025.04.12 |
2024년 기사 2회_1부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