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작업형

2023년 기사 1회_3부

다솔변샘_안전 2025. 4. 10. 15:15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3차 동영상 작업형은 총 9문제이며, 배점은 총 45점 만점,한 문제에 다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부분점수 있습니다. 수검자의기억에 의한 복원문제로 일부 문제 내용 및 정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문제속 일러스트 이미지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http://www.kosha.or.kr)


문제/정답

1. 맨손에 보안경, 방진마스크, 귀마개를 미착용한 작업자가 탁상용 연삭기 전원을 켜고, 봉강연마 작업을 한다. 연삭기에 덮개는 설치되어 있는데, 칩비산방지투명판이 없다. 작업자가 두 손으로 연삭 가공을 하는데 칩이 눈에 튀어서 한손으로 비산물이 튀는 것을 막으며 작업한다. 파이프가 흔들리다가 결국 튀어 작업자 가슴으로 날아간다. 


① 기인물과 ② 연마작업 시 파편이나 칩의 비래에 의한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해야 하는 방호장치명을 쓰시오. 
① 기인물 : 탁상용 연삭기 
② 방호장치명 : 칩비산방지투명판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입구 측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판이 파열하면서 유체가 분출하도록 용기 등에 설치된 얇은 판으로 다시 닫히지 않는 압력방출 안전장치 관련한 ① 장치명과 ②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2가지를 쓰시오. 

장치명 : 파열판 
②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 반응폭주 등 급격한 압력상승의 우려가 있는 경우
○ 급성독성물질의 누출로 인하여 주위의 작업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 
○ 운전 중 안전밸브에 이상 물질이 누적되어 안전밸브가 작동되지 아니할 우려가 있는 경우


3. 급정지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프레스에 사용가능한 방호장치 4가지를 쓰시오.


○ 가드식 (방호장치)  
○ 수인식 (방호장치)
○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 양수기동식 (방호장치) 

 
4. 계단 설치기준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사업주는 계단 및 계단참을 설치하는 경우 매제곱미터당 (① 5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구조로 설치하여야 하며, 안전율은 (② 4)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사업주는 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그 폭을 (③ 1)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급유용·보수용·비상용 계단 및 나선형 계단이거나 높이 (④ 1)m 미만의 이동식 계단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사업주는 높이가 (⑤ 3)m를 초과하는 계단에 높이 3m 이내마다 너비 (⑥ 1.2)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5. 항타기·항발기로 땅을 파는 중에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보도블럭을 빼낸다. 그 이후 전주를 옮기다 인접 활선에 접촉되어 전기가 지지직한다. 재해의 직접요인 2가지를 쓰시오. 


○ 이격거리 미준수 
○ 작업자의 접근 한계거리 미준수 


6. 자동차부품(브레이크 라이닝)을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있다. 세정제가 바닥에 흩어져 있으며, 고무장화 등을 착용하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있다. 운동화를 신고 일반 작업복을 입고 방진 마스크와 면장갑을 착용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영상의 작업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 4가지를 쓰시오. (단, 안전모 제외) 


○ 불침투성 보호복
○ 불침투성 보호장갑 
○ 불침투성 보호장화
○ 보안경  

 


7. 정전 작업 후 조치사항 3가지를 쓰시오.


○ 작업도구, 단락 접지기구 등을 전기기기로부터 제거하고 안전하게 통전될 수 있는지 확인 할 것
○ 모든 작업자가 작업이 끝난 전기기기로 부터 떨어져있는지 확인할 것 
○ 잠금장치 및 꼬리표는 설치한 작업자가 직접 제거할 것
○ 모든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전원을 투입할 것  


8. 다음 설명에 맞는 크레인의 방호장치를 쓰시오.


​​가. 권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양용 와이어로프가 일정한계 이상 감기게 되면 자동적으로 동력을 차단하고 작동을 정지시키는 장치 
○ 권과방지장치​

나. 훅에서 와이어로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 훅 해지장치

다. 전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비의 측면에 부착하여 전도 모멘트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한 장치: 
○ 아웃트리거 (outrigger)



9. 사업주가 리프트(자동차정비용 리프트는 제외)의 운반구 이탈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장치를 A~F까지 순서에 상관없이 3가지를 쓰시오.

A
B
C
D
E
F


○ A. 권과방지 장치
○ B. 완충 스프링
○ C. 비상정지장치
○ D. 출입문 연동장치
○ E. 방호울 출입문 연동장치
○ F. 3상 전원 차단장치


문제

1. 맨손에 보안경, 방진마스크, 귀마개를 미착용한 작업자가 탁상용 연삭기 전원을 켜고, 봉강연마 작업을 한다. 연삭기에 덮개는 설치되어 있는데, 칩비산방지투명판이 없다. 작업자가 두 손으로 연삭 가공을 하는데 칩이 눈에 튀어서 한손으로 비산물이 튀는 것을 막으며 작업한다. 파이프가 흔들리다가 결국 튀어 작업자 가슴으로 날아간다. 


① 기인물과 ② 연마작업 시 파편이나 칩의 비래에 의한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해야 하는 방호장치명을 쓰시오. 


① 기인물 : 
② 방호장치명 :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입구 측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판이 파열하면서 유체가 분출하도록 용기 등에 설치된 얇은 판으로 다시 닫히지 않는 압력방출 안전장치 관련한 ① 장치명과 ②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2가지를 쓰시오. 

장치명 : 
②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 



3. 급정지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프레스에 사용가능한 방호장치 4가지를 쓰시오.

 

○ 
○ 
○ 


 
4. 계단 설치기준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사업주는 계단 및 계단참을 설치하는 경우 매제곱미터당 (①     )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구조로 설치하여야 하며, 안전율은 (②   )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사업주는 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그 폭을 (③   )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급유용·보수용·비상용 계단 및 나선형 계단이거나 높이 (④   )m 미만의 이동식 계단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사업주는 높이가 (⑤    )m를 초과하는 계단에 높이 3m 이내마다 너비 (⑥     )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5. 항타기·항발기로 땅을 파는 중에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보도블럭을 빼낸다. 그 이후 전주를 옮기다 인접 활선에 접촉되어 전기가 지지직한다. 재해의 직접요인 2가지를 쓰시오. 


○ 
○ 


6. 자동차부품(브레이크 라이닝)을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있다. 세정제가 바닥에 흩어져 있으며, 고무장화 등을 착용하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있다. 운동화를 신고 일반 작업복을 입고 방진 마스크와 면장갑을 착용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영상의 작업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 4가지를 쓰시오. (단, 안전모 제외) 

 

○ 
○ 
○ 
  

 


7. 정전 작업 후 조치사항 3가지를 쓰시오.


○ 
○ 
○ 
○ 


8. 다음 설명에 맞는 크레인의 방호장치를 쓰시오.


​​가. 권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양용 와이어로프가 일정한계 이상 감기게 되면 자동적으로 동력을 차단하고 작동을 정지시키는 장치 
○ 

나. 훅에서 와이어로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 

다. 전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비의 측면에 부착하여 전도 모멘트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한 장치: 
○ 



9. 사업주가 리프트(자동차정비용 리프트는 제외)의 운반구 이탈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장치를 A~F까지 순서에 상관없이 3가지를 쓰시오.

A
B
C
D
E
F


○ A


○ B


○ C


○ D


○ E


○ F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작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기사 2회_2부  (0) 2025.04.11
2023년 기사 2회_1부  (0) 2025.04.11
2023년 기사 1회_2부  (0) 2025.04.10
2023년 기사 1회_1부  (0) 2025.04.10
2022년 기사 3회_3부  (0)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