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주관식

2017년 기사 1회 : 문제/정답

다솔변샘_안전 2024. 6. 6. 09:44
반응형

2017년 기사 1회 : 문제/정답


1. 달비계의 적재하중을 정하고자 한다. 다음(         )에 안전계수를 쓰시오.

가) 달기 와이어로프 및 달기 강선의 안전계수 : ( ① 10 )이상
나) 달기체인 및 달기 훅의 안전계수 : ( ② 5 )이상
다) 달기 강대와 달비계의 하부 및 상부 지점의 안전계수는 강재의 경우   ( ③ 2.5 )이상, 목재의 경우( ④ 5 ) 이상

 


2. 지반 굴착 시 굴착 면의 기울기를 (   )에 쓰시오.


※개정에 내용에 알맞게 문제 조정
○ 모래                      1 : ( 1.8 )
○ 그 밖의 흙            1 : ( 1.2 )
○ 연암 및 풍화암     1 : ( 1.0
○ 경암                     1 : ( 0.5 )



3. OJT에 대해서 설명하고, 장/단점 2가지를 쓰시오.

정답: "ON-the-Job Training"의 준말로 “직장 내 훈련”이라는 뜻이며, 실습을 통해 그 과정에서 필요한 사항을 몸에 익하는 현장 교육

장점
○ 맞춤식 교육이 가능.
○ 교육 효과가 높다.

단점
○ 대규모 교육 불가
○ 계획적/체계적이기 어렵다.

 

4.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히빙 현상에 관해 설명하고, 대책 2가지를 쓰시오. 

① 히빙 현상 

: 연 점토 지반에서 굴착에 의한 흙막이 내ㆍ외면의 흙의 중량 차이로 인해 굴착 저면 이 부풀어 올라오는 현상

 

② 보일링

 : 사질토 지반에서 굴착 서면과 흙막이 배면과의 수위 차로 인해 굴착저면의 흙과 물이 함께 위로 솟구쳐 오르는 현상


5. 안전표지판 명칭을 쓰시오.


1. 방사성 물질 경고
2. 사용금지
3. 폭발물 물질경고
4. 낙하물 경고

 


6. 안전ㆍ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ㆍ제출하도록 명할 수 있는 사업장 4곳을 쓰시오.

○ 산업재해 발생률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 발생률의 2배 이상인 사업장
○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 직업병에 걸린 사람이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 작업환경 불량, 화재ㆍ폭발 또는 누출사고 등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업장

 

 

7. Safe T score의 (   )에 알맞은 계산식을 쓰고, 그 값이 1.5일 때 무엇을 뜻하는지 쓰시오.

 


​A: 현재 빈도율
B: 과거 빈도율
C: 과거 빈도율

○ 심각성 여부 : 1.5이므로 안전관리 수행도 평가가 과거와 차이가 없다.
1 +2.00 이상 : 과거보다 심각하다.
2 +2.00 ~ -2.00 : 과거와 차이가 없다.
3 -2.00 이하 : 과거보다 좋아졌다.



8. 1톤 이상의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 시의 특별안전보건 교육 내용을 쓰시오. 

(단, 그 밖에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

 

○ 방호장치의 종류, 기능 및 취급에 관한 사항
○ 화물의 취급 및 작업방법에 관한 사항
○ 신호방법 및 공동작업에 관한 사항
○ 걸고리ㆍ와이어로프 및 비상정지장치 등의 기계ㆍ기구 점검에 관한  사항

 

 

 


9. 인력으로 중량물을 하역 운반할 때 몸의 자세는?

○ 대상물을 들거나 내릴 때 척추의 형태가 정상이 되도록 한다.
○ 허리 부분이 굽혀지거나 회전되는 것은 피한다.
○ 취급하는 물체를 몸에 가깝게 밀착시키고 물체의 중심이 신체의 중심(배꼽)과 일직선에 오도록 대상물을 양발 사이에

   위치시킨 후 다리를 굽혀 들어 올린다.
○ 공간이 충분한지 확인하고 손가락과 발가락이 끼지 않도록 물건을 내린다.
○ 허리를 비트는 동작 및 허리를 구부리는 동작은 최소화한다..
○ 물체를 몸에 최대한 밀착시키고 무릎 아래 및 어깨 위 높이에는 가능한 한 물체를 두지 않는다.


10. 양중기(승강기 제외)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보기 쉬운 곳에 부착 사항을 쓰시오.

○ 경고표시
○ 정격하중
○ 운전속도

 

 

11. 다음에 설명에 맞는 도저는?

[ 트랙터 앞쪽에 블레이드를 90도로 부착한 것이며, 블레이드를 상하로 조종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블레이드를 앞뒤로 10도 정도 경사지을 수 있으나 좌우 및 상하로는 각을 지우지는 못한다. 불도저의 주작업은 직선 성토작업, 굴토작업, 거친 배수로 메몰작업 등이다.]

○ 불도저(스트레이트 도저 bulldozer or straight dozer)

2. 블레이드를 좌우로 20~30도 정도 각을 지울 수 있어 토사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 앵글 도저(angle dozer)

3. 블레이드를 상하로 20~30도 정도 각을 지울 수 있어 블레이드 한쪽 끝 부분에 힘을 집중시킬 수 있다.
○ 틸트 도저(tilt dozer)


12. 이동식 크레인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

○ 트럭 크레인
○ 크롤러 크레인
○ 휠 크레인

 


13. 명예 산업안전 감독관의 업무 4가지를 쓰시오(4점) 

○ 사업장에서 하는 자체점검 참여 및 근로감독관이 하는 사업장 감독 참여
○ 사업장 산업재해 예방계획 수립 참여 및 사업장에서 하는 기계·기구 자체검사 참석
○ 근로자에 대한 안전수칙 준수 지도
○ 법령 및 산업재해 예방정책 개선 건의
○ 법령을 위반한 사실이 있는 경우 사업주에 대한 개선 요청 및 감독기관에 신고
○ 산업재해 발생의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 사업주에 대한 작업중지 요청


14.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산업재해 발생위험이 있는 장소를 5개소 쓰시오. 

<규정변경으로 문제 삭제>

1. 토사ㆍ구축물ㆍ인공구조물 등이 붕괴될 우려가 있는 장소
2. 기계ㆍ기구 등이 넘어지거나 무너질 우려가 있는 장소
3. 안전난간의 설치가 필요한 장소
4. 비계 또는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장소
5. 건설용 리프트를 운행하는 장소

 


2017년 기사 1회 : 문제

1. 달비계의 적재하중을 정하고자 한다. 다음(         )에 안전계수를 쓰시오.

가) 달기 와이어로프 및 달기 강선의 안전계수 : ( ①    )이상
나) 달기체인 및 달기 훅의 안전계수 : ( ②    )이상
다) 달기 강대와 달비계의 하부 및 상부 지점의 안전계수는 강재의 경우   ( ③     )이상, 목재의 경우( ④     ) 이상

 


2. 지반 굴착 시 굴착 면의 기울기를 (   )에 쓰시오.


※개정에 내용에 알맞게 문제 조정
○ 모래                      1 : (         )
○ 그 밖의 흙            1 :  (         )
○ 연암 및 풍화암     1 :  (         )  
○ 경암                     1 :  (         )



3. OJT에 대해서 설명하고, 장/단점 2가지를 쓰시오.

장점
○ 
○ 

단점
○ 
○ 


 

4.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히빙 현상에 관해 설명하고, 대책 2가지를 쓰시오. 

① 히빙 현상 

 

② 보일링 : 


5. 안전표지판 명칭을 쓰시오.


1. 
2. 
3. 
4. 



6. 안전ㆍ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ㆍ제출하도록 명할 수 있는 사업장 4곳을 쓰시오.

○ 
○ 
○ 
○ 

 

 

 


7. Safe T score의 (   )에 알맞은 계산식을 쓰고, 그 값이 1.5일 때 무엇을 뜻하는지 쓰시오.

 


​A: 현재 빈도율
B: 과거 빈도율
C: 과거 빈도율

○ 




8. 1톤 이상의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 시의 특별안전보건 교육 내용을 쓰시오. 

(단, 그 밖에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

 

○ 
○ 
○ 
○ 

 

 

 


9. 인력으로 중량물을 하역 운반할 때 몸의 자세는?

○ 
○ 
○ 
○ 



10. 양중기(승강기 제외)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보기 쉬운 곳에 부착 사항을 쓰시오.

○ 
○ 
○ 

 

11. 다음에 설명에 맞는 도저는?

[ 트랙터 앞쪽에 블레이드를 90도로 부착한 것이며, 블레이드를 상하로 조종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블레이드를 앞뒤로 10도 정도 경사지을 수 있으나 좌우 및 상하로는 각을 지우지는 못한다. 불도저의 주작업은 직선 성토작업, 굴토작업, 거친 배수로 메몰작업 등이다.]

○ 

2. 블레이드를 좌우로 20~30도 정도 각을 지울 수 있어 토사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 
3. 블레이드를 상하로 20~30도 정도 각을 지울 수 있어 블레이드 한쪽 끝 부분에 힘을 집중시킬 수 있다.
○ 


12. 이동식 크레인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

○ 
○ 
○ 


13. 명예 산업안전 감독관의 업무 4가지를 쓰시오(4점) 

○ 
○ 
○ 
○ 



14.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산업재해 발생위험이 있는 장소를 5개소 쓰시오. 

<규정변경으로 문제 삭제>

 

반응형